2013년 암등록통계 발표...연령표준화발생률 2년연속 감소

▲ 2013년 국가암등록통계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암황자의 5년생존율은 69.4%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암생존율은 69.4%로, 암환자 3명 가운데 2명이 생존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중앙암등록본부는 22일 국가암등록통계사업에 따른 우리나라 국민의 2013년 암관련 통계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13년 새롭게 발생한 암환자 수는 22만 5343명(남성 11만3744명, 여 11만1599명)으로 10년 전보다 79.3% 증가했는데, 2012년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다. 다음은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고, 연령표준화발생률은 10만 명당 311.6명(남 328.1명, 여 313.4명)으로, 전년 대비 10.7명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암검진을 통한 전암 단계에서의 발견, 남성 흡연율 감소, 예방접종 시행, 진료권고안 개정, 생활습관 개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최근 5년간(2009-2013년)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69.4%로 집계됐다. 2001~2005년 생존율 53.8% 대비 15.6%p 올랐는데, 암종별로는 위암 73.1%(15.4%p), 전립선암 92.5%(12.3%p), 간암 31.4%(11.2%p), 대장암 75.6%(9.0p), 비호지킨림프종 68.4%(8.4%p), 폐암 23.5%(7.3%p) 순으로 향상됐음을 알 수 있다.

1999년 이후에 발생한 암환자 중 2014년 1월 1일 생존한 것으로 확인된 암경험자(치료 중 또는 완치 후 생존자) 수는 약 14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국민 37명 중 1명 이상이 암경험자인 셈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암등록통계사업을 기반으로 국가암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암예방, 검진, 진단 및 치료, 생존자 관리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등 생애전주기 맞춤형 암관리정책을 수립하는 근거자료를 생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간암 검진주기 조정(1년 → 6개월), 자궁경부암 연령 조정(30세 → 20세 이상) 등 검진 제도를 내년부터 개선 시행하기 위한 시행령 입법예고 중이며, 올해 발표한 폐암 검진 권고안을 기반으로 폐암 검진 시범사업을 위한 사전 연구를 내년에 시행할 계획이다.

그 외 암의 예방, 치료, 완화의료, 국제협력 등을 포함한 제3기(2016-2020)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은 현재 수립 단계로, 내년 초 발표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