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JM 최근자, SCALE Obesity and Prediabetes 대규모 연구결과 공개

▲ 올해 미국 보스턴에서 성료된 미국당뇨병학회(ADA 2015) 연례학술회 컨퍼런스 전경. 미디어들이 새로이 발표된 연구결과에 집중하고 있다. 사진ⓒ메디칼업저버 원종혁 기자.

'성인 비만 치료제로 당뇨병까지 대비한다, 과연 가능할까?'

미국 컬럼비아대 내분비비만연구센터 Xavier Pi-Sunyer 박사팀이 주도한 SCALE Obesity and Prediabetes 임상결과에서 해답을 엿볼 수 있다.

NEJM 7월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된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의 GLP-1 수용체 작용제인 리라글루타이드 3.0mg(제품명 삭센다)은 비만한 당뇨전단계 환자를 대상으로 뚜렷한 체중감소 효과를 재각인시켰다(2015DOI:10.1056/NEJMoa1411892).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빠른 효과와 부작용 위험을 줄여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은 차치해도, 비만한 환자의 혈당 개선과 당뇨전단계 예방효과까지 덤으로 따랐다.

결국 하루 한 번 피하주사하는 리라글루타이드 3.0mg이 체중감소 효과에 더해 혈당 개선과 당뇨전단계 예방 가능성까지 입증했다는 결론이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리라글루타이드의 용량은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1.8mg(제품명 빅토자)이 아닌 성인 비만 치료제로 승인을 받은 3.0mg이다.

10% 이상 체중감량 환자군, 위약군 대비 3배 이상

인크레틴 기반 치료제로는 경구용 약물인 DPP-4 억제제와 주사제인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유일한 상황에서, GLP-1 계열의 리라글루타이드 3.0mg이 갖는 강점은 분명하다.

경구용 치료제 대비 체중감소·혈압·지질개선 등 3대 주요 과제에 일부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연구기간마다 차이는 있지만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유의한 강하효과와 중성지방 개선효과가 뚜렷했다.

▲ 리라글루타이드 3.0mg(제품명 삭센다)

이같은 효과를 대변해 주는 것으로 리라글루타이드의 SCALE Obesity and Prediabetes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번 공개된 연구는 비만 또는 과체중을 동반했지만 아직 당뇨병을 진단받지 않은 환자를 타깃으로 한 대표적인 대규모 무작위대조연구(RCT)다.

이중맹검법으로 진행된 연구에는 총 3731명이 참여했다. 이들의 체질량지표(BMI,kg/m2)는 최소 30이거나 이상지질혈증 또는 고혈압을 동반한 경우는 BMI가 최소 27이었다. 또 연구 시작시 환자의 평균 연령은 45.1±12.0세였으며, 평균 체중은 106.2±21.4kg, 평균 BMI는 38.3±6.4였다. 환자의 총 78.5%는 여성이었으며 당뇨전단계 환자가 61.2%였다.

참가자들은 리라글루타이드 3.0mg 1일 1회 피하주사군(2487명)과 위약군(1244명)으로, 56주간 당뇨전단계 진행률 및 체중 감소효과 등을 관찰했다. 모든 환자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케 했다.

1차 종료점은 최소 5%의 체중변화와 초기 체중의 10% 이상을 줄이는 것이었다.

▲ 올해 ADA 2015 제약부스엔 노보노디스크의 삭센다 부스가 별도로 마련됐다.

56주 결과에 따르면 체중감소는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에서 월등했다. 위약군이 평균 2.8±6.5kg의 체중감소가 있었던데 반해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은 평균 8.4±7.3kg의 체중이 감소한 것. 이들 비교군에서의 차이는 5.6kg였다(P<0.001).

결국 연구의 종료점 만족에 있어서도 차이가 벌어졌다. 체중의 5%가 감소한 환자 분포도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은 63.2%, 위약군 27.1%였다(P<0.001). 더욱이 10% 이상 체중이 줄어든 환자도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33.1%)이 위약군(10.6%)을 3배 이상 앞섰다(P<0.001).

연구기간 중증 이상반응의 발생은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6.2%)과 위약군(5.0%)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에서 가장 빈번히 보고된 이상반응은 경증 혹은 중등도 수준의 구역과 설사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리라글루타이드 3.0mg은 식이요법과 운동의 보조제로서 체중감소 효과와 대사증후군의 증상들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당뇨병진행·혈당·혈압·지질 개선 효과 입증…심혈관 이상반응? 위약군과 비슷

한편 작년 국제내분비학회·미국내분비학회(ICE/ENDO)의 연례학술회에서 발표된 SCALE Obesity and Prediabetes 연구결과에서도 리라글루타이드 3.0mg은 당뇨전단계로 진행된 비율이 6.9%에 그쳐, 위약군 19.9%에 비해 상당한 효과를 입증했다(P<0.0001).

긍정적인 결과는 이뿐만이 아니다. 투약 후 혈당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 환자는 위약군 32.1% 대비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은 69.7%로 2배 이상 많았다(P<0.0001).

앞서 언급됐던 혈압과 지질 개선효과도 포착됐다.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에서는 위약군과 비교해 수축기혈압 2.8mmHg, 이완기혈압을 0.9mmHg까지 낮췄다. 또 심혈관질환 및 이상지질혈증 발생과 결부되는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위약군에 비해 2.4% 감소,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1.9 증가, 중성지방(TG)을 9.3%까지 떨어뜨리는 효과가 나타났다(P<0.0001).

이와 관련 심혈관사건은 리라글루타이드 투약군 8.7%, 위약군 9.9%로 두 군에서 비슷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