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 병원내 3차 감염 통제 가능(?)

▲ 문형표 복지부장관은 2일 오후 2시 메르스 관련 브리핑을 했다.

우리나라가 중동국가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가장 많은 나라가 됐다. 2일 현재 25명 발생, 2명 사망, 3차감염자 발생이라는 뼈아픈 기록을 세우게 됐다.

이러자 보건의료단체연합은 '한국 공중보건의료체계 파산의 결과'라고 지적하고 나섰고, 일부에선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물어 복지부장관의 사퇴에 대한 설문도 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환자 확진 초기 단계에서부터 허둥지둥하면서 '원칙'에만 충실한 대처만을 외쳐 결국 변화무쌍한 현실을 인식하지 못한채 확산됐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문형표 복지부장관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지난달 31일 광화문 세종청사에 가진 브리핑에서 "메르스의 전파력에 대한 판단과 최초 환자에 대한 접촉자 그룹의 일부 누락 등으로 인해 국민 여러분께 심려와 불안을 끼쳤다"고 사과했다. 2일 브리핑에서도 또한번 사과했다.

2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사망한 메르스 의심환자 S(57·여)씨는 최초 확진 판정을 받은 A(68)씨와 지난달 중순 같은 병동을 사용하다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새로 확진된 6명의 환자 중 4명이 A씨와 같은 병실이 아닌 같은 병동을 이용한 환자나 보호자였다.

첫번째 문제는 역학조사 범위다. 보건당국은 애당초 지난달 20일 첫 메르스 확진 판정 후 A씨와 같은 병실을 사용한 환자, 보호자, 의료진 등에 대해서만 격리 관찰과 역학조사를 했다. 이후 지난달 28일 6번째 확진 환자인 F(71)씨가 A씨와 같은 병실이 아닌 같은 병동에서 입원했던 환자였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에야 뒤늦게 조사 범위를 확대한 것.

입원환자들이 병동을 돌아다닌다는 사실을 간과한 탁상 역학조사였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는 결국 메르스 발생 초기부터 격리 관찰자 지정과 역학조사 등 방역 체계를 제대로 가동했다면 환자를 신속히 치료하고 확산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또 지난달 31일 장관브리핑에서 민관합동대책반을 구성하고 특정 병원을 중심으로 역학조사를 다시 하기로 했지만 이미 격리 대상자는 129명에서 이틀만에 682명으로 늘어났다.

이제는 3차감염이 우려된다. 31일 3차감염 가능성이 없을 것이라는 확신에 찬 브리핑 이후 이틀만에 2명의 3차 감염자가 발생했다. 보건당국은 2일 3차감염은 의료기관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지역사회 감염을 의미하지 않으며, 아직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선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또다른 문제는 메르스 감염 확산의 가장 큰 원인은 보건당국의 책임이지만 환자를 치료한 병원이 확산의 책임이 있다는 시각을 운운하는데 있다. 특정 병원은 올해 개원한 400병상의 깨끗한 병원이다. 이곳에서 감염자가 많이 발생하자 의료진이나 시설을 통한 감염 등에 무게를 두고 진료 절차·병실 공조시스템 등을 살펴보고 있다는 것이다. 역학조사는 필요하지만 병원이 감염관리에 충실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측면서 접근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메르스는 우리나라에선 교과서에만 있는 감염병으로 이번에 처음 접했다. 해당 병원은 메르스가 알려지기도 전에 통상적인 매뉴얼에 따라 고열 환자를 진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제와서 병원의 감염관리 시스템을 운운하는 것은 보건당국의 책임을 개별 병원의 책임으로 떠넘기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한편 정부는 질병대응단계가 '심각' 단계가 될 경우 통상적으로 장관이 대책본부장을 맡게 되지만 이번엔 선제적 대응으로 '주의' 단계에서 격상했다. 현재의 단계가 이미 '주의' 단계를 넘어선 것을 보건당국 스스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청와대는 2일 '메르스 관련 긴급 대책반'을 편성하고, 메르스 관련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