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만 국민 진료정보·영상기록·검진결과 등 담은 'My Health Bank' 발전 계획 발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축적된 1조5000억건의 국민 개개인의 빅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건강서비스 모델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는 원격의료나 의료영리화 추진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건보공단 성상철 이사장은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사실상 개개인의 모든 정보가 담긴 5000만 국민의 자격 및 보험료·의료이용·건강검진 등의 자료를 토대로, 국민 질병치료·예방증진 사업과 보건의료서비스산업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공단은 지난 2012년 3월부터 개인건강기록시스템인 'My Health Bank' 서비스를 구축했고, 이를 통해 건강검진 결과, 문진정보, 1년간의 의료이용내역, 약물정보, 건강나이 알아보기, 뇌졸중 위험도 예측 등의 정보를 제공 중이다.

공단은 'My Health Bank'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건강 서비스 시스템'을 마련 중이며, 이는 공단 자료에 외부 기관의 자료를 융합하는 형식으로 이뤄진다.

사용자의 입력정보,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건강의료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반까지 구축해 개인별 맞춤형 건강서비스가 구축될 전망이다.

특히 공단은 여기에 혈압기, 혈당기, 만보기 등을 활용해 자가측정한 정보들을 생애기록 데이터를 연계시킬 예정이며, 다양한 질병의 발병위험도 예측할 수 있는 '인과관계 추론 알고리즘'도 탑재시킬 계획이다.

민간기관의 건강검진 자료, MRI·CT를 포함한 병의원 영상검사 파일, 기상 및 환경 데이터 등 흩어져 있는 개인의 건강정보를 집약한 'My Health Bank'는 앞으로 '건강정보 생산 전진기지'가 될 것이란 게 공단의 예측이다.

게다가 해당 정보는 스마트폰 등으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서 편의를 도모할 예정이며, 이와 동시에 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활용도도 높일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공단은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여 국민건강에 한발짝 더 다가가기 위해 ▲지난 2년간 구축한 읍면동 단위의 '건강검진 및 의료이용 지표'를 보건소와 연계해 만성질환을 관리 중이며, ▲급성기 질병 발생을 알리는 '국민건강 주의-알람서비스'제공, ▲정책 학술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용 표본코호트DB 개방 등을 진행 중이며, 이는 건강서비스 모델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성 이사장은 "공단의 빅데이터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융합을 통해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의 초석을 마련 중"이라며 "건강서비스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권을 지키는 보험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렇게 융합·구축된 공단의 빅데이터는 보건의료서비스 및 산업 발전의 최대 기반이 될 것"이라며 "방대하고 민감한 개개인의 정보를 철저히 보호하기 위해 시스템 관리 및 보안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를 두고 의료계 일각에서는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개원의사회 관계자는 "개별적인 진료정보를 모두 보유한 공단이 이를 국민 건강관리에 활용하는 것까진 국민건강과 예방중심 의료로 간다는 점에서는 찬성"이라면서, "하지만 만성질환관리에 대한 지원을 민간의료기관과 하는 것이 아니라 보건소와 연계하는 것은 반대"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보건의료전문가는 "방대한 자료를 활용한 개별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은 찬성할만하다"면서도, "혹시 이는 추후 정부에서 실현할 원격의료나 영리화의 초석이 되진 않을지 우려스럽다"고 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