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갑상선암의 수술적 치료 권고안 심포지엄'서 논의

올해 초 촉발된 갑상선암의 조기검진에 대한 사회적 파장이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이제는 과잉진단을 넘어 과잉수술로 그 범위가 확산되는 형국이다. 일부 비갑상선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초기 갑상선암은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이 확산되면서 수술이 시급한 환자들조차 수술을 기피하거나 수술을 권하는 의사는 부도덕하다고 매도하는 것과 같은 우려스러운 상황이 전개되기도 한다.

이러한 논란을 불식시키고자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가 적극 나섰다.

그동안 갑상선암 치료에 관해서는 2010년 대한갑상선학회 등과 공동으로 제정한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개정안을 따라왔지만 외과의들 입장에서 수술에 관해 보다 심도있는 권고안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가이드라인을 새로 만들기로 한 것.

그 첫 번째 행보로 9월 13일에는 '갑상선암의 수술적 치료 권고안 심포지엄'을 열고 학회 회원들의 의견을 모으는 자리를 마련했다.

▲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윤정한 회장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윤정한 회장(화순전남대병원 내분비외과)은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일찍부터 갑상선암 수술과 관련 연구를 왕성하게 시행해온 터라 그 가이드라인을 바이블처럼 따랐지만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임상 경험이 많이 축적됐다"며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던 차에 이번 논란을 계기로 보다 빨리 실행에 옮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윤 회장에 따르면 갑상선암은 다른 암종에 비해 진행이 느리기 때문에 제대로 된 통계를 내려면 20년 이상의 추적 결과가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갑상선암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것이 2000년대 이후임을 감안할 때 다소 이른 감도 있지만 데이터가 10년 이상 쌓였고, 유럽과 견줄 만큼 치료 성적도 어느 정도 나오고 있기 때문에 무리한 시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또한 단순히 암의 크기를 넘어 갑상선암 자체의 생물학적 태도나 발생원 등이 미국이나 유럽 쪽과는 매우 다르기 때문에 풍토, 유전학적 영향 등을 고려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윤 회장은 "검진에 관해서는 이미 국가 차원에서 권고안을 만들고 있으니 더 이상 왈가왈부하기 그렇지만 수술에 관해서는 외과의들이 주도권을 가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심포지엄을 통해 과연 어떤 성질의 암은 시간을 두고 지켜보고, 어떤 암은 당장 수술을 해야 하는지, 수술 시 적절한 절제 범위에 대한 문제와 최근 늘고 있는 로봇수술, 내시경수술에 대해서도 지침을 정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지난달 충북의대 박진우 교수(충북대병원 외과)를 위원장으로 진료권고안위원회가 꾸려졌다.

심포지엄에서는 △갑상선암은 모두 수술해야 하는가 △갑상선암의 적저한 절제 범위는 무엇인가 △림프절 절제는 언제 필요하며 적절한 절제 범위는 무엇인가 △완결갑상선절제는 어떤 경우에 필요한가? △국소진행암의 적절한 수술적 치료는 무엇인가 △잔존/재발/전이암의 적절한 수술적 치료는 무엇인가 △로봇/내시경 갑상선절제술의 적응증은 무엇인가에 대한 7개의 핵심질문(key question)을 주제로 1, 2부에 걸쳐 상세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주관 '갑상선암의 수술적 치료 권고안 심포지엄'

윤 회장은 "치료시기를 놓쳐 수술도 못하게 되면 정부가 책임질 수 있는 문제가 아닌데, 경제 논리를 가지고 국민의 건강권, 검진권을 규제하려고 드는 작금의 사태가 매우 안타깝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수술 가이드라인이 잘 만들어질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