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남성의 간경변 포함 간암 사망률, 압도적 1위

말기 간경변증의 산정특례 적용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한림의대 김동준 교수(대한간학회 의료정책이사)는 7일 문정림 의원-대한간학회 주관으로 열린 '국민 간건강 증진을 위한 국가정책 방향' 토론회에서 말기 간경변증에 대한 중증질환 산정특례 적용을 강력 제안하고, 심각한 음주실태에 정책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과거 한국은 간염의 왕국이었지만 정부 주도로 시행된 B형 간염 예방접종 사업을 통해 간질환 관리 체계를 공고히 했다"면서 "주지할 점은 결국 여러 간질환의 종착역은 간경변이기에 이제 정부는 중증질환 산정특례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간경변증이 가지는 실제 질환 위험도가 높아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는 설명이다.

투석을 요하는 만성 콩팥질환에 비해 간경변 환자의 평균수명은 25~30%까지 낮다. 또 간경화는 간부전 혹은 간암으로 사망하는 독특한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폐암, 유방암, 대장암 등이 해당 장기의 부전으로 사망하지 않는 사실과 구별된다.

게다가 간암 고위험군의 80%에서 간경화를 동반하고 있으며 40, 50대 남성 사망이 절대적으로 많다는 대목에 주목해야 한다. 즉 가장 사회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해야할 남성 가장들이 간암으로 사망해 가정에 이중적 부담을 안겨준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간경화는 질병 다빈도 순위 329위로전체 질환중 0.17%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말기 간경화의 보장성 강화를 위해서라도 중증질환 및 희귀질환의 산정특례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교수는 청소년과 여성 음주율이 갈수록 증가하는 국내 음주문화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술과 담배에 취약한 계층은 주로 서민층으로 음주 인구중 알코올 간질환 환자는 70% 수준이다.

김 교수는 "한국은 지엽적 음주 문제인 알코올 중독에만 정책이 집중돼 있는 왜곡된 현상을 나타낸다"며 "음주로인한 사회적 비용 지출은 19.9조로 흡연(5.6조)의 세배가 넘는다. 지금 이를 바로잡지 않으면 다음 세대에서 건강비용 지출이 늘어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알코올은 정상적인 소비재가 아니며 위해성이 담배보다 더 큰데도 정책적인 부분이 약화돼 있는 것이 문제다. 더욱이 알코올에 대한 연구는 민간 주도가 어렵기에 향후 건강보험 지출 증가를 막기위해 보건복지부 내에 금주에 대한 강력한 정책 집행의 주체가 마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해외 경우 금주 관련 정책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알코올 정책 연구가 확립돼 있는 상황이며, 미국은 국립음주관리원(NIAAA)주도 하에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