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의협이 발표한 총파업 참여율이 극과 극이다.


참여율은 조사시간, 방법, 기준을 어떻게 보는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문제는 어떻게 조사했느냐의 방법론 보다 어떤 결과가 나왔느냐는 것이 뇌리에 오래 남을 수밖에 없고 그것이 정책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의협과 복지부가 내세운 49.1%대 20.9%는 상황을 해결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지역별 총파업 투쟁 참여율은 의협발표를 보면  서울 41.5%, 부산 70.6%, 대구 41.9%, 인천 66.1%, 광주 20.6%, 대전 53.6%, 울산 16.5%, 경기 47.6%, 강원 67.1%, 충북 53.5%, 충남 76.7%, 전북 9.1%, 전남 43.3%, 경북 48.5%, 경남 79.8%, 제주 62.4%다. 복지부 발표는 서울 14.2%, 부산 47.4%, 대구 22.8%, 인천 26.2%, 광주 2.7%, 대전 15.9%, 울산 5.0%, 경기 18.8%, 강원 32.0%, 충북 24.4%, 충남 28.7%, 전북 1.6%, 전남 11.4%, 경북 18.4%, 경남 43.0%, 제주 37.1%, 세종시 65.5%였다.

의협은 오전에 1~2시간 진료하고 오후에 총파업에 참여하는 등 단축진료까지 합하면 실제 참여율은 60% 이상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복지부의 참여율 낮추기도 크게 다를 바 없다.

한 개원의는 "자기의 조사가 옳으니 이 흐름을 잘 읽고 항복하라고 주장하는 것이냐"면서 "참여율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하면 제3자에 의뢰하거나 공동조사를 하는 것이 좀더 객관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파업에 동참한 의료기관 중에는 개인 신변상의 사유를 들어 휴진 안내문을 부착한 경우도 있고, 단축진료만 참여한 경우도 있다. 사전에 예약된 환자 취소가 불가능했거나 환자가 몰리는 월요일의 특성상 어쩔 수 없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참여와 불참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파업 참여율 신경전보다 파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통'에 나서는 것이 지금으로선 더 중요하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