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민영화 반대하는 의협 지지 VS 국민만 피해. 의료계 대중 공감 얻었나?

의료계가 10일 집단휴진과 관련해 어느 정도 대중의 공감을 끌어냈을까? 다음, 네이버 등 여러 포털과 SNS의 반응을 확인한 결과 찬반이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사에 즉각적인 의견을 달 수 있는 포털 및 기사 댓글은 대부분 파업에 공감한 반면, 트위터 등 SNS에서는 반대입장이 많은 관심을 받으며 화제에 오르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막다른 선택, 정부 강압에 몰린 것. 의협 지지한다"

포털 DAUM의 의료계 파업 기사에 대해 한 네티즌은 "대화는 커녕 이번 사건도 검찰 공안부에 배당하더라"며 "휴진에는 반대했지만 막다른 선택을 강요한 박근혜 정부의 강압이란 것을 알기에 의협을 지지한다"고 말해 가장 많은 추천을 받았다.

다른 네티즌은 "그렇게 안된다고 외쳐도 재벌들 배불려주기에 급급해 끝까지 의료민영화 하려고 한다"며 "이제 아파도 병원갈 돈 없어서 끙끙댈 사람들 주변에 천지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정부가 너무 몰아붙인다. 2000원이면 병원진료받는데 사과 1개 값"이라며 "병원들이 적자투성이인데 건강보조식품은 10여 만원, 변호사들 비용은 천만원 단위"라고 꼬집었다.

포털 NAVER의 기사에도 "의사들이 왜 파업하는지 아는가. 먼저 의료수가를 올려줄 수 없으니 다른 것으로 장사해 돈남기라고 하는 것이 의료영리화이며, 의사 진찰없이 화면만 보고 진료 받으라는 것이 원격진료다. 의사가 진료는 뒷전으로 하고 장사하길 바라는가"라는 지적이 가장 많은 공감을 이끌었다.

그리고 "원격진료 비쌀지 쌀지 생각해봤나. 선진국 따라한답시고 원격진료하면서 민영화하면 돈있는 자들의 세상 옵션이 하나씩 갖춰지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생각하자. 왜 파업 시위를 하겠나. 저거 목숨 걸고 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의견 중 "병원들 원래 일요일은 항상 쉬었는데 왜 하루갖고 이렇게 난리들이냐"는 반응도 있었다.

한 트위터는 "의료파업 참여하는 의료기관에게 15일간 영업정지를 먹이겠다는 방침을 보니, 파업하는 하루는 국민들이 아파도 많이 불편해하고, 영업정지 기간동안에는 아무리 아파도 알아서 참으라는 무언의 압박이 느껴진다"고 꼬집기도 했다.

"원격진료 반대 이면에 의료수가 인상 있다. 결국 국민만 피해"

의료계 파업에 반대하는 댓글들도 일부 눈에 띄었다. 포털 NATE의 한 네티즌은 "불편한 진실이 있다. 원격진료 반대, 영리병원 반대, 그 뒤에는 세 번째 의료수가 인상이 있다. 의료수가 인상은 곧 국민 의료비 증가다. 결국 일반 국민만 피해볼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른 네티즌은 "의사들이 주장하는 원격진료와 영리자회사가 그렇게 문제라면 국민인 내가 나서서 데모하겠지만, 지금 병원들 작태는 분명 의료수가 인상과 현재 의료시스템 위에 앉아 대충 수입을 챙기겠다는 행동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또 NAVER 기사에는 "전문직 의사들 의료수가 올려주자고 하는 사람들아. 건강보험료나 진료비 더 낼 의향은 있는가"하고 반문하며 "공부 하느라 고생한 의사들 수입 더 늘려주는 데 찬성한다면 건강보험료나 진료비 더 내겠다는 것부터 동의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의료계 파업이 대중적 공감을 끌어내지 못했다는 지적들도 있었다. 한 트위터는 "칼을 내려놓겠다는 의료파업의 비극은 간명하다.그들이 주장하고 있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에 대한 이의제기는 의료소비자인 대중의 이해와 상당부분 일치함에도 이들을 설득하는 자세와 이해를 구하는 '인술'이 부족한 데 있다.인술은 평소에 쌓아야 하는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또 누군가는 "자영업은 수없이 개업하고 많은 폐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비해 의료기관들의 폐업률은 굉장히 낮을 것이다. 그건 의료라는 특수성도 있지만 의료보험제도 때문이다. 이번 의료파업을 실시하는 곳을 의료보험 지급병의원에서 제외시키는 것은 어떨까?"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아울러 "주변 의사들이 흥분해서 트윗하지만 주변 대부분은 의료파업을 언제 왜 하는지도 정확히 모른다"며 "의사집단 자체가 공감 얻어내는데 불리한 집단 같아서 그 점은 안타깝지만 사실 의사집단이 외부와 연대하는 걸 본 적도 없다"고 꼬집는 이도 있었다. 

한편 "국민 공청회를 청원한다. 정부각료, 의협대표. 본 법안 시행으로 이익 혹은 피해를 보게될 각각의 집단대표들이 생중계로 토론하고 의료소비자인 국민이 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