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적극적 투자 없이는 발전 힘들어

2. 정부 의지에 달렸다

최근 BMJ Quality and Safety Journal에 '시간에 따른 위해사건 추이: 왜 우리는 향상되지 않고 있나? (Trends in Adverse Event over time: why are we not improving?)'라는 논평이 실렸다.

논평의 요지는 '위해사건이 이전에 비해 많이 감소됐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기대만큼 위해사건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세간의 관심과는 달리 '환자안전연구'에 대한 정부 차원의 투자가 너무 적고, 아직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환자안전 현황파악에 집중돼 실제 효과적인 해결책을 임상현장에 적용하는 연구가 너무 적은 것 등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실제 보건의료분야의 연구를 담당하는 미국 국립보건원의 예산은 환자안전과 질향상 분야를 담당하는 AHRQ(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의 60배 정도(약 300억달러)라고 한다.

WHO는 환자안전연구 분야를 6가지 영역으로 나눠 제시하고 있다.

1. 위해의 측정(measuring harm)
2. 원인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causes)
3. 해결책의 개발 (developing solutions)
4. 적용을 통한 학습 (learning from implementation)
5. 영향의 평가 (evaluating impact)
6. 향상으로부터 정책과 실천으로 이행 (form improvements into policy and practice)
등이다.

결국 환자안전연구는 '위해가 얼마나 발생하고 그 원인이 무엇이며, 해결책의 효과는 어느 정도이며 이것을 어떻게 임상현장에 적용하고 임상지침 등으로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환자안전연구는 궁극적으로 연구결과를 임상현장에 적용해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환자안전연구는 환자안전향상 활동과 따로 구분하기 어렵고, 6가지 연구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없이는 환자안전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런 관점에서 '존스홉킨스도 한 때 위험한 병원이었다'의 저자인 Peter J. Pronovost도 '환자안전연구와 향상 틀(Framework for Patient Safety Research and Improvement)'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이처럼 외국의 환자안전연구가 아직까지 현황파악에 집중돼 있고 다른 분야에서는 아직 걸음마 수준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환자안전연구의 불모지와 다름없다.

KoreaMed 사이트에서 'patient safety'라는 주제어로 검색을 해 보면 약 80건이 나오는데, 연구대상을 '인간'으로 한정하면 22건만이 남는다. 그 중 2012년에 출간된 논문이 8건으로 전체의 36%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좋은 논문이 해외의 저명저널에 실리고 이곳의 논문자료가 전체가 아니겠지만, '고혈압'이나 '당뇨' 관련 논문이 2800여 건 정도 검색되는 것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더욱이 대부분의 연구가 환자안전문화, 인식, 교육 등에 치중돼 있으며, 우리나라 의료기관 차원의 많은 환자안전향상 활동들은 객관적으로 증명되거나 연구결과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환자안전연구 투자가 아직 부족하지만, 2011년 기준 예산이 전무한 우리나라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환자안전 향상을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정부차원에서 환자안전연구를 비롯한 전반적인 환자안전분야에 대한 과감하고도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이유다.

국가차원의 위해사건 현황 파악뿐만 아니라 '카테터 관련 감염' 등과 같은 세부적인 환자안전사건들에 대한 현황 및 원인분석, 의료기관의 환자안전향상 활동을 임상진료의 일부로 정착되게 하는 연구들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환자안전향상은 부분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의료기관 차원의 활동과 연구 등이 실제 환자안전의 향상을 증명하는 분야이면서도, 우리나라 환자안전문제의 근본 원인이 바로 보건의료체계에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