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로봇 치료 환자에 큰 부담…재활의학회에 수가 용역 발주

의료진이 환자에게 재활로봇치료를 처방하려면 우선 수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현재 재활로봇치료는 급여는 물론 비급여도 신청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재활의료로봇은 3억원에서 5억원을 호가하는 고가다.

보행로봇을 사용하는 국내 한 병원 관계자는 "로코멧 수가를 특수보행치료수가로 비용을 처리하고 있다.

물리치료사가 직접치료하는 것과 같이 로봇도 한번 치료시 1만 5000원을 받고 있다"며 "로봇 한 대당 기기가 2~3억원인데 비해 손해를 많이 보는 구조일 수밖에 없다.

수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 보행로봇치료를 수가로 인정받았으면 한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김수연 부산의대 교수(양산부산대병원 재활의학과)가 전국 8개 재활전문병원과 재활전문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보행로봇 구매의사를 전화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8개 병원이 적절한 의료수가와 가격 형성이 되면 구매하겠다고 밝혔다. 적절한 의료수가 미확립(5개 병원), 비싼 구매가격(2개 병원), 치료효과에 대한 확신 부족(1개 병원) 등이 재활로봇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요소로 꼽혔다.

또 6개 병원이 로봇 3억 4000만원 기준으로 했을 때 치료 1회당 5만원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3만원과 7만원으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병원이 각각 1곳이었다.

재활로봇시범사업단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재활의학회 보험위원회에 "보행재활로봇 수가화 연구" 용역을 발주한 상태이다. 지난해 12월부터 수가 연구에 들어간 재활의학회는 전민호 울산의대 교수(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를 책임자로 4개 팀으로 나눠 수가를 받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재활의학회 보험위원회는 서울대병원을 비롯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국립재활원, 서울재활병원 등 로봇을 활용하는 7개 병원의 현황을 조사하고 상대가치 점수를 산정하기 위해 의사업무량, 진료비용, 위험도 산출에 대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2월 초 열린 재활로봇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에서 수가 연구를 하는 전재용 울산의대 교수(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는 "심평원은 원가 개념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재활의료로봇에 소요되는 비용을 원가로 계산해도 아마도 1/3 정도 밖에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며 "낮은 체계로 보급되면 병원들이 활용하기 어려울 것 이다"

따라서 "곧바로 급여체계로 가는 것보다는 비급여로 간 후 임상자료 등을 더 모은 후 급여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환자의 원인질환 별로 치료의 유형을 분석하고 치료를 할 때 의사의 행위시간, 치료사 참여 인력, 수행시간 등에 대한 현장 조사를 하고 있다"며 "연간 예상환자수나 환자 1인당 연간 치료회수 등 보행재활로봇 치료 도입 후 재정 추계 등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수가와 관련해 재활의료로봇에 관여하는 전문가들은 비급여로 시작한 뒤 급여로 신청하는 게 좋겠다고 입을 모은다.

이외에도 재활의료로봇은 이미 에비던스가 많아 이를 신의료기술로 신청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급여냐 비급여는 2단계에서 논의할 문제라는 것. 재활의료로봇은 한 대에 몇 억원씩 하는 고가라 병원은 구입하기 어렵고, 구입한다고 하더라도 환자 부담이 커 현재로서는 신의료기술이 최선이라는 주장이다.

실용화 전 중개연구 필요성 갈수록 증대
연구 투자 실패 해결책으로 제시…미국은 뛰는데 우리는 "엉거주춤"



전문가들은 공학자들의 생각과 이론으로 재활로봇을 만들지만 임상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공학자들과 임상의들의 생각을 모으고 이를 상품화할 수 있도록 중개연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란 기초과학 연구 결과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단계로 연계하는 전 과정으로 기초과학(basic science)과 응용과학(applied science) 사이를 연결하는 연구다. 중개연구는 또 임상적인 관찰결과를 통한 문제점을 통해 기초과학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연구의 초점을 제시하는 연구이기도 하다.

최근 기초과학에의 투자결과가 실용화 단계로 전환하는 데 실패하거나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드는데 대한 해결책으로 중개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재활로봇시범사업단 김종배 단장은 "임상적용 및 산업화를 가로막는 장벽을 넘기 위한 것이 중개연구"라며 "중개연구는 기존의 기술 중심의 연구결과와 임상연구 간의 연계를 촉진해 재활로봇 산업육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김 단장은 "병원 기반에서 임상 및 중개연구를 하고 있고 다학제적 연구를 한 장소에서 진행한다"며 "중개연구 활성화는 세계적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최고의 재활로봇연구센터인 시카고 노스웨스턴대학의 RIC(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는 병원과 같은 건물 내에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RIC에서는 중개연구를 위한 Translational Research hospital을 신축할 예정이고, RIC내에 "patient recovery unit"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test bed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이 병동에는 한층 전체에 입원병동과 로봇재활치료실인 ability lab을 만들었고, 여러 대의 첨단 로봇을 구입해 세팅해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들이 입원 또는 통원치료를 할 수 있다.

하버드대학 스폴딩재활의학센터는 하버드대학 및 소속 병원의 다른 교실들과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고 MIT, 코넬대학 등의 연구자들과도 공동연구모임과 컨퍼런스를 진행하고 있다. 스폴딩재활의학센터는 재활로봇의 개발단계에서부터 공학자, 임상의사, 치료사, 기초연구를 하는 신경과학자 등이 같은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미국 캘리포니아 얼바인대학은 ICTS(Institute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가 있고 연간 500만달러씩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아 중개 및 임상연구를 하고 있다.

국내 12개 부처로 분산돼 제각각
미국 등의 앞선 중개연구에 비해 국내 현실은 열악하다.

지난해 7월 열린 재활로봇 중개연구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에서 재활로봇 관련자들은 KIST, LG전자연구소 등의 공학연구소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가 있지만 소규모이고, 보건복지부가 재활로봇시범사업을 시작했지만 2012년 16억원 투자로 미미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 정부 12개 부처에 재활로봇이 각각 분산돼 있고 또 연구할 때 R&D는 지식경제부, 인허가를 받을 때는 복지부가 담당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정은경 과장은 "복지부와 지경부, 의료기기협회 등과 TF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며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자 중심의 중개연구와 의료비 부담이 큰 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문제해결형 중개연구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