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BMR 2023] Look AHEAD-C 임상연구 토대로 골절 위험요인 분석
과체중·비만 당뇨병 환자, 삼환계 항우울제 복용 시 골절 위험 2.24배↑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삼환계 항우울제(TCA)가 2형 당뇨병(이하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Look AHEAD-C 임상연구를 토대로 과체중 또는 비만인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신경병증과 관계없이 TCA 복용 시 첫 골절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결과만으로 TCA가 직접적 골절 원인이라고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하지만,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 결과는 10월 13~16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미국골대사학회 연례학술대회(ASBMR 2023)에서 발표됐다.

당뇨병 환자 골절 위험 높지만, 예측도구 과소평가 경향 있어

당뇨병 환자는 골절 위험이 높다고 알려졌다. 최종당화산물은 뼈강도 감소와 연관됐기에, 혈당 조절은 골절 위험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와 함께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요인에는 항당뇨병제 투약, 신경병증, 미세혈관질환 등이 있으며, 이는 피질골의 다공성(cortical porosity) 증가와 관련됐다.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은 국내 연구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백기현 교수 연구팀은 2009~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건강검진을 받은 41세 이상 성인 655만여명을 대상으로 당뇨병과 골절 간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당뇨병 성인에 비해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대퇴골 골절 위험은 당뇨병 환자가 비당뇨병 성인보다 74% 증가했다(Osteoporos Int 2021;32(12):2543~2553).

이번 연구를 진행한 미국 어거스타대학 Rachel Elam 교수는 "당뇨병 환자는 골절 위험이 높다고 보고된다"면서도 "그러나 당뇨병 환자의 골절 예측도구는 골절 위험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TCA-골절 위험 조사한 향후 연구 필요"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연구팀은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요인을 조사하고자 과체중 또는 비만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고강도 생활습관 중재 효과를 조사한 Look AHEAD-C 임상연구를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이전에 발표된 연구보다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Look AHEAD-C에는 미국 16곳 의료기관에서 45~75세 당뇨병 환자 4697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의 체질량지수는 25kg/㎡ 이상, 당화혈색소는 11% 이하였다.

16.6년(중앙값) 추적관찰 동안 649명이 첫 골절을 겪었다. 이를 바탕으로 골절 위험을 평가한 결과, TCA 복용 시 2.24배 골절 위험이 의미 있게 높았다(HR 2.24; 95% CI, 1.14~4.43)

이와 함께 △여성(HR 2.20; 95% CI 1.83~2.66) △인슐린 투약(HR 1.26; 95% CI 1.02~1.57) △당화혈색소 증가(1% 증가당 HR 1.12; 95% CI 1.04~1.20) △나이(HR 1.02; 95% CI 1.01~1.04) 등도 골절 위험 증가와 연관된 요인으로 평가됐다.

아울러 △기타 또는 혼혈인/혼합 민족(HR 0.68; 95% CI 0.52~0.87) △히스패닉 백인 인종/민족(HR 0.60; 95% CI 0.39~0.91) △비히스패닉 흑인 인종/민족(HR 0.35; 95% CI 0.26~0.47) △에스트로겐 사용(HR 0.65; 95% CI 0.44~0.98) 등은 골절 위험 감소와 연관됐다. 

Elam 교수는 "이는 추정적 결과로, TCA를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며 "TCA가 직접적으로 골절을 유발한다는 근거는 아직 충분하지 않으며, 향후 조사가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이번 연구가 시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가 당뇨병 환자의 골절 위험을 잘 예측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정보를 제시했다고 본다"면서 "향후 TCA 등 약물 복용을 예측도구에 포함시키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