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예영민 교수 연구팀, 병인 기전 규명

왼쪽부터 예영민 교수, 최보윤 연구교수.
왼쪽부터 예영민 교수, 최보윤 연구교수.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국내 의료진이 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만성 두드러기의 새로운 자가항원 및 자가항체를 처음으로 확인, 병인 기전을 규명해냈다. 

이번 연구는 7월 국제학술지 Allergy(IF 12.4)에 '만성 두드러기에서 열충격단백질10에 대한 자가항체의 발견 : 마이크로알엔에이 101-5p와 혈소판 활성 인자와의 관계'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아주대병원 예영민 교수(최보윤 연구교수)팀(알레르기내과)은 만성 두드러기 환자 86명과 정상인 대조군 44명을 대상으로 단백칩 분석에서 찾은 열충격단백10(HSP10)에 대한 자가항체를 측정했다.

그 결과, 만성 두드러기 환자군에서 대조군과 달리 HSP10에 대한 자가항체 양성률이 40.7%로 높았다. HSP10 자가항체 양성 환자들은 두드러기 중증도도 높았다.

만성 두드러기 환자 혈액에서 HSP10 단백 자체는 상대적으로 낮았고, 이들은 6개월 치료 후에도 두드러기가 잘 조절되지 않았다.

즉 HSP10 단백이 두드러기 악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에 더해 연구팀은 HSP10을 낮추는 원인이 증가된 miR-101-5p이며, HSP10이 비만세포 탈과립을 억제하는 과정에서 혈소판 활성인자가 관여하는 기전을 규명했다. 

또 HSP10을 전처리한 비만세포에서 혈소판 활성화 인자에 의한 탈과립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HSP10 자가항체가 두드러기 증상을 악화 및 지속시키는 새로운 자가항체라는 것을 처음 증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예 교수는 "만성 두드러기 관련 새로운 HSP10 자가항체를 발견한 동시에 천연의 비만세포 탈과립 억제제인 HSP10 단백과 마이크로 RNA의 조절이 만성 난치성 두드러기의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는 만성 두드러기 예방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