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주장
국립의료원 이소희 과장 "달라진 생활패턴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줄 수 있어"
명지병원 김현수 교수 "우울과 외로움, 스마트폰 중독 등의 문제에 시달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코로나19(COVID-19)가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행동에 문제가 있거나, 장애 아동에게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7일 온라인으로 열린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코로나19 유행이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렸다.  

심포지엄에서 여러 전문가는 비대면으로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면서 아동청소년의 생활리듬이 불규칙해졌다고 우려했다. 게임을 하다 밤에 깨어 있고, 아침에 자는 아동도 많아졌고, 다음날 학교에 가지 않기 때문에 생활 패턴도 깨졌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생활습관이 장기적으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고위험 아동청소년에 관심 가져야"

 7일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서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과장이 코로나19로 인해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위험하다고 발표했다.  
 7일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서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과장이 코로나19로 인해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위험하다고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과장은 아동청소년의 깨진 수면각성주기는 장기적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과장은 "달라진 수면각성주기는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모든 아동아청소년을 관찰해야지만, 고위험 소아청소년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게 이 과장의 주장이다.

고위험이란 ▲빈곤▲ 만성질환이 있는 학생 ▲정신과 질환이 있는 학생 ▲과거 부정적 사건경험(ACEs)이 있는 학생등이다. 

이 과장은 "정서행동문제가 있는 아동청소년 특히 ADHD, ODD, CD를 관심을 갖고 케어해야 한다"며 "센터의 프로그램이 중단된 영향을 직적접으로 받는 지적장애가 있는 아동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위험에 노출된 아동청소년이라는 것을 인지하지만 현실적으로 개입하기 어렵다는 게 주장도 폈다. 

교사는 비대면 일상화로 학생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고, 코로나19로 인해 교사의 업무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또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가 연기된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지난해 전년 대비 관심군 학생 수가 증가한 것도 이를 방증하는 지표라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위(we)센터, 위(we)클래스 등정신건강복지센터도 정상운영을 하지 못하는 것도 상황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이 과장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풀기 위해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교육부가 전화심리의료상담을 진행했다"며 "청소년 모바일 상담도 하고, 학교 응급 심리지원 등을 위한 원격연수컨텐츠개발도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앞으로는 전문기관 미연계학생, 학부모 비동의 학생 등 사각지대에 있는 소아청소년의 관리를 위해 학교로 찾아가는 정신건강 전문가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5~10세, 11~16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악화

같은 주제로 발표에 나선 명지병원 김현수 교수는 세계의 아동청소년들이 코로나19로 인해 자살, 애착, 거리두기로 인한 우울과 외로움, 스마트폰 중독 등의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명지병원 김현수 교수가 코로나19로 인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이 악화됐다고 발표했다.
명지병원 김현수 교수가 코로나19로 인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이 악화됐다고 발표했다.

2017년과 2020년을 분석한 영국 데이터를 보면, 5~10세, 11~16세 사이의 소년과 소녀 모두 정신건강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경항은 이어진다. 

올해 최지욱 교수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청소년은 자극성 증가, 집중력 저하, 조르는 행동 증가, 수면장애, 악몽, 식욕저하, 초조 등의 증상을 보였다. 

학령 전기 아이들은 평소보다 더 많이 보채고, 관심끌기가 늘어나고 가족 중 누군가가 감염될 것에 대한 공포와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었다. 

학령기 아동들은 어린 아동에 비해 집중력 저하와 코로나19에 관해 지속적으로 캐묻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최 교수는 슬픔과 불안, 죽음에 대한 공포, 부모의 죽음에 대한 공포, 병원에 고립될 것에 대한 공포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며, 이는 심리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격리 조치의 심리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에서 격리자의 28~33%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보였고, 20%에서 공포를 보였다. 

"아동청소년 단절, 잔소리, 결손 등 5가지 트라우마 겪어"

이날 학술대회에서 김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이 호소하는 심리적 부담과 5가지 트라우마를 발표했다. 

▲외로움, 우울과 관련된 고립 및 단절 트라우마 ▲위생수칙 및 감염관리와 관련된 잔소리 트라우마 ▲혼공, 혼밥, 혼활하면서 일상생활을 유지해야 하는 생활 트라우마 ▲ '제대로 한 것이 없다' 는 가족, 사회로부터의 결손 트라우마 ▲ 스마트폰 및 여러 중독과 관련된 트라우마 등이 김 교수가 얘기한 것들이다. 

김 교수는 부모들이 아동청소년의 단절 트라우마를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 교수는 "부모들은 친구의 존재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지만, 소아청소년은 친구가 세상의 모든 것이 될 수 있다"며 "아동청소년이 느끼는

단절은 강력한 소속감을 주는 집단인 학급과 동료로부터의 단절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해 학교에 못가게 되면서 새로운 출발도 소속감도, 정체성도 모두 단절된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교육자 등에게 남긴 숙제가 많아 보인다. 

김 교수는 "아동청소년들이 학교에 가지 못함해 사회적 경험을 박탈당한 것이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며 "180일 출석 중 출석일에 따른 영향이나 등교의 효과도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 "아동청소년의 소속감과 연결감과 가족의 규모, 활동에 대한 연구도 기대할 만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