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Dean A. Fennell 박사팀, 옵디보와 대조군으로 임상
OS, 옵디보군 9.2개월 vs 대조군 6.6개월
PFS, 옵디보군 3.0개월 vs 1.8개월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흉막이나 위와 간 등의 장기를 감싸고 있는 얇은 막에서 생기는 중피종(mesothelioma)은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의료진을 곤란하게 만드는 질환 중 하나다.

특히 재발된 중피종은 더욱 그렇다. 현재 전체생존율(OS)과 무진행생존율(PFS)을 향상시킨 임상3상조차 없는 상태다.

그런데 최근 BMS의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가 중피종 환자의 OS와 PFS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지난 1월 28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 국제폐암컨퍼런스(WCLC 2020)에서 발표됐는데, 옵디보가 OS 28%, PFS 39%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CONFIRM 연구 

CONFIRM 연구로 명명된 이 연구는 영국 레스터대학 Dean A. Fennell 박사팀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7년 4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했고, 목표로 한 참가자 수는 336명이었다. 하지만 영국 내에서 코로나19(COVID 19) 팬데믹으로 인해 참가자는 332명에 그쳤다. 

연구팀은 중피종으로 이전에 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 332명을 대상으로 ▲옵디보군(n=221)▲대조군(n=111)으로 무작위 배치했다. 

또 PD-L1 발현이 중피종 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파악하기 위해 환자를 분석했다. PD-L1 발현 양성(Tumor Proportion Score, TPS) 1% 이상인 환자는 옵디보군 37%, 대조군 29% 분포돼 있었다.

연구의 추적관찰기간(중앙값)은 옵디보군 17.1개월, 대조군 14.2개월이었다. 

OS, 9.2개월 vs 6.6개월

연구결과 옵디보군에서 OS가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길었다(9.2개월 vs 6.6개월, HR 0.72, P=.018). 또 12개월에서 측정한 생존율은 옵디보군 39.5%, 대조군 26.9%로 역시 옵디보군에서 우세했다. 

연구자 측정 PFS 결과값도 마찬가지였다. 옵디보군 3.0개월, 대조군 1.8개월이었다(HR 0.61 P=.018). 12개월 째 무진행생존기간(PFS)도 옵디보군이 더 길었다(14.5% vs 4.9개월).

PD-L1 발현이 중요하지만, 바이오마커는 되지 못한다는 결론도 도출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PD-L1 양성인 환자를 옵디보(n=56), 대조군(n=24)로 분류했을 때 OS(중앙값)은 옵디보군 8.0개월, 대조군 8.7개월이었다. 12개월 째 생존율은 각각 38.6개월, 43.6개월이었다.   

PD-L1 음성인 환자를 옵디보(n=94), 대조군(n=60)로 분류했을 때 OS(중앙값)은 옵디보군 9.0개월, 대조군 6.4개월이었다. 12개월 째 생존율은 각각 36.6개월, 26.0개월이었다. 

Fennell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PD-L1 발현은 생존을 예측하는 지표가 못했다"며 "PD-L1 양성도 그렇다고 PD-L1 음성도 아닌 환자가 이번 임상시험에서 OS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epithelioid vs Non-epithelioid 차이는?

연구팀은 환자들을 상피모양(epithelioid)군 비상피모양(Non-epithelioid)군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그런데 그 결과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연구 결과 상피모양군에서 임상적 혜택이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피모양군을 옵디보(n=195), 대조군(n=98)으로 배치해 분석한 결과 OS(중앙값)은 옵디보군 9.4개월, 대조군은 6.6개월이었다. 또 12개월 째 생존률은 40%, 대조군 26.7%이었다.

비상피모양군은 옵디보(n=26), 대조군(n=13)으로 구분했는데, 그 결과 OS(중앙값)은 옵디보군 5.9개월, 대조군은 6.7개월이었다. 또 12개월 째 생존률은 34.6%, 대조군 30.8%이었다. 

Fennell 교수는 "상피모양군에서 임상적 혜택이 관찰됐지만, 비상피모양에서는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호주 웨스트미드병원 Rina Hui 박사는 상피모양군에서 옵디보가 임상적 혜택을 보이는 것은 의아하다고 지적했다. 

Hui 박사는 "비상피성질환이 더 공격적인 암이고, 항암화학요법에도 더 저항적이다. 따라서 생존 곡선도 빠르게 하락한다"며 "그런데  CONFIRM 연구에 12%만 배치돼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결국 샘플 사이즈가 너무 적어 결과 값에도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