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병원 신철 교수 "탈모 가족력만 있다면 위험 4배 상승…수면무호흡 모공에도 영향"

수면무호흡이 있는 남성은 탈모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대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철 교수팀이 남성 932명을 분석한 결과, 탈모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수면무호흡이 있고 탈모 가족력이 있는 남성은 일반인보다 탈모 위험이 최대 7배까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탈모 가족력만 있는 남성은 일반인 대비 탈모 위험이 4배가량 상승했다.
이와 함께 수면무호흡 또는 탈모증을 가진 남성은 철분 이동을 담당하는 혈청 트랜스페린 포화도가 정상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모공의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탈모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이번 연구는 수면무호흡으로 인한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저산소증이 모낭 세포의 정상적 분열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 공급을 방해하는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탈모 치료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철 교수는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무호흡 증상은 모낭 세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산소 공급뿐만 아니라 철분을 비롯한 영양 공급에도 영향을 미쳐 탈모증을 야기할 수 있다"며 "수면무호흡이 만성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면 현대인 남성에게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는 탈모증의 위험에도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탈모 가족력이 있고 수면장애로 인한 무호흡이 의심되는 사람, 특히 중년 남성은 가능한 한 빨리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조기진단이 필요하다"면서 "지속적 양압호흡기 치료(CPAP) 등의 적극적인 조기 치료를 통해 수면무호흡을 개선해야 탈모를 비롯한 복합적인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