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에서 발생위험 높지만, 실제 치료 인원은 고소득층이 더 많아

19세 이상 성인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 정서행동장애 환자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층에서는 환자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소득수준별로 병원 이용에 차이를 보였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성일종 의원(자유한국당)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년 현재 ADHD 등 정서행동장애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숫자는 총 9만 166명으로, 2012년 대비 24.3%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다만 연령별로는 차이가 커, 청소년 층에서는 환자 숫자가 줄었지만 성인에서는 반대로 환자 숫자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18세 이하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지난 5년간 환자 숫자가 31.2% 감소했으나, 19~29세 환자는 75.2%가 급증했다. 아울러 30대 48.2%, 40대 27.1%에서도 환자의 숫자가 늘어났다.

▲연령별 ADHD 등 정서장애 환자 증감현황(성일종 의원)

청소년 층에서는 환자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소득수준별로 병원 이용에 차이를 보였다. 소득상위 20%(소득분위 9~10분위)에서 하위 20%(소득분위 1~2분위) 보다 환자가 무려 4.1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

이는 저소득 가구 아동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앓을 위험성이 더 높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실제 박은철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팀이 2002~2003년 출생한 아동(1만 8029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저소득 가구 아동이 ADHD를 앓을 위험성이 고소득 가구 아동에 비해 최대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아동 및 청소년의 건강수준' 보고서에서도 ADHD 유병률이 저소득층 가구에서는 1000명당 8.84명, 고소득 가구에서는 4.42명으로, 저소득층에서 두 배나 높았다.

▲2016년 기준, 18세 이하 ADHD 환자 소득분위별 진료현황(성일종 의원)

성 의원은 "고소득층 자녀의 경우 치료를 위한 적극적인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2012년의 경우 소득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3.2배였던 점을 감안하면, 소득에 따른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 의원은 "정서행동장애는 아동기에 주로 발병하지만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적절한 치료가 동반되지 않으면 청소년기와 성인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며 "저소득층 자녀의 경우 경제적 어려움으로 적극적인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성인까지 지속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