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복귀자들 "불이익 줄 것" 등 협박과 소외 시달려
동일한 혜택 안 돼… 레지던트 추가 정원 우선 배정 등 베네핏 필요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환자단체가 올해 봄 조기 복귀한 전공의들의 정당한 평가와 보호를 수련병원과 정부에 촉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이하 환연)는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조기 복귀 전공의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다"며 "이들을 위한 제도적 보호장치를 마련해 달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환연은 "올해 3월 복귀한 전공의들은 먼저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련 기간을 채우지 못한 올해 6월과 9월에 각각 복귀한 전공의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2026년 레지던트 지원 자격과 전문의 시험에 응시해야 한다"며 "이는 국민 정서에 반하는 과도한 특혜이며, 결과적으로 환자를 위해 먼저 나선 전공의들이 오히려 불이익을 받는 구조가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환연에 따르면, 3월 복귀한 전공의 중 일부 인턴들은 소외와 조롱을 당하고 있으며, 일부 선배 전공의들로부터 레지던트로 뽑지 않겠다"는 협박까지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조기 복귀 인턴들이 레지던트 선발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을까 두려움에 떨고 있다고 전했다.
환연은 "그럼에도 정부는 조기 복귀 전공의들을 위한 어떠한 보호 조치나 제도적 배려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환자를 지키기 위해 먼저 나선 전공의들이 설 자리를 잃는 불합리한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이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진로 문제가 아니라, 미래 의료공백 사태에서 의사들이 환자를 위해 어떤 선택을 할지 결정짓는 중요한 사회적 신뢰의 문제"라며 "환자를 위해 먼저 복귀한 전공의가 불이익을 받고, 끝까지 환자를 외면한 전공의가 동일한 혜택을 받는다면 앞으로 어떤 의료인도 환자를 위해 먼저 용기 내어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환연은 정부에 2026년도 레지던트 선발 시 조기 복귀 인턴들에게 추가 정원을 우선 배정하고, 협박·배제·불이익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제도를 신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