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의원, 보건의료 설문조사 발표···응급의료체계 개편 요구 1순위
지역의사제 77.0%, 공공의대 67.2% 찬성...부·울·경 요구 특히 높아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우리 국민의 10명 중 8명이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직감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이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실시한 보건의료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8명(78.8%)이 '응급실 뺑뺑이'를 경험했거나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했다.
또 '응급실 뺑뺑이'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중증응급환자 즉각 수용 의무 강화' 29.5%, '중증응급환자 수술·시술 가능 인력 확충' 26.4%, '실시간 병상·환자 진료정보 시스템 구축' 19.9% 순으로 응답했다.
정부가 가장 우선 추진해야 할 보건의료 과제로는 응급의료체계 개편(51.1%)을 꼽았다. 다음으로 '건강보험 재정 낭비 해결'(43.2%), '지역 간 필수의료 격차 해소'(36.1%)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의사제 도입은 찬성 77.0%, 반대 13.2%로, 찬성 응답이 63.8%p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82.6%)에서 찬성 비율이 특히 높았다. 공공의대 설립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 67.2%, 반대 24.0%로, 찬성 응답이 43.2%p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비급여진료비를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찬성 68.5%, 반대 24.5%로, 찬성 응답이 44.0%p 우세하게 나타났다.
실손의료보험 제도 관련해서는 '바람직하다' 68.6%(매우 13.8%, 어느 정도 51.5%), '바람직하지 않다' 26.4%(별로 20.2%, 전혀 6.2%)로,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2.2%p 우세하게 나타났다.
실손의료보험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절차의 복잡성과 거절 사유의 불투명성'(37.5%)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일부 기관의 제도 악용'(33.0%), '지속적인 보험료 인상'(15.9%), '일부 가입자의 남용'(12.9%) 순으로 조사됐다.
김윤 의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보건의료 국정과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지지도가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응급의료체계 개편을 통한 '응급실 뺑뺑이'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국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온라인 구조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구체적 설문조사 결과는 2025 국정감사 자료집 '이재명 정부 보건의료 국정과제, 국민에게 묻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응급의료기관 37.5%, 소아응급 24시간 진료 안돼
- 政 "지역필수의료 확충 로드맵 마련"... 野, ‘외국인 건보 무임승차’ 지적
- 정은경 장관, "필수의료 확충 위한 로드맵 종합계획 수립 중"
- 전공의 없이 안 돌아가는 응급실? 지난해 진료제한 메시지 11만건
- 11개 시도, 응급실 이송지침에 '응급환자 수용의무' 빠져
- 지역의사제 속도 내는 ‘당·정·대’, 다음은 공공의대?
- 의료계 "지역의사제 취지엔 공감···실효성 의문"
- 응급의학회 "119 직권 병원 선정, 국제적 치료 지침에도 위배"
- 환자단체 "지역의사제 환영···본회의 조속히 통과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