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부족' 원인은 4만건 이상 전년 대비 132%
올해 벌써 3만건 넘어...추석 연휴 응급실 혼란 예방해야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전공의들이 사직한 지난해 전국의 400여 개 응급실이 중앙응급의료센터로 '진료가 불가'메시지를 보낸 횟수가 11만건 이상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중앙응급의료센터에 표출된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는 11만 33건으로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5만 8520건)에 비해 88% 증가했다.
특히 '인력부족'을 사유로 꼽은 메시지는 총 4만 3658건으로 전공의 사직전인 2023년(1만 8750건)에 비해 132.8% 증가했다. 올해 8월까지의 '인력부족' 사유 응급실 진료제한 메시지 역시 3만건을 넘었다.
월별로 살펴보면, 의대증원이 발표되기 전인 2024년 1월(1954건)까지만 해도 전년 동월(1545건)과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의대증원 발표로 전공의들이 사직하기 시작한 2월부터는 전년 동월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김선민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추진으로 발생한 의료대란이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응급실의 혼란을 야기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곧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추석 연휴가 돌아오는 만큼, 응급실 혼란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11개 시도, 응급실 이송지침에 '응급환자 수용의무' 빠져
- 의료계, "응급의료법 개정안" 법안소위 통과 환영
- 전공의 "전공의법 환영하지만, 주 72시간 미적용은 아쉬워"
- "연속근무 24시간"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법, 법안소위 통과
- 의료계 "119 결정권, 응급현장 더 큰 혼란 부를 것"
- 9월 전공의 합격자 7984명···모집인원 대비 '59.1%'
- 전공의 수련 복귀, 반가움·서먹함 공존···정상화 시간 필요
- 전공의 복귀 따른 응급의료 지원금 축소될까?
- 원해도 복귀 못하는 지방·필수의료 전공의들 "교수님 없어 수련 못 해요"
- "전공의도 초과근로수당 받아야" 대법 판결에 전공의노조 '환영'
- 국민 10명 중 8명 "응급실 뺑뺑이 직간접 경험"
- 내외산소응급 지방 의료 붕괴 현실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