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의원 "전국 35개 지방의료원 중 16곳 의사 정원 미달"
전공의 공동수련체계 마련과 기금·정책수가·성과연동 도입해야

자료 : 보건복지부·김윤 의원실 재구성
자료 : 보건복지부·김윤 의원실 재구성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2024년 전공의 수련병원으로 지정된 23곳 가운데 19곳은 전공의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의료원의 수련 체계 붕괴가 현실화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전국 지방의료원 의사직 정원 및 현원 자료에 따르면, 전국 35개 지방의료원 가운데 16곳이 의사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료원(67.7%)과 대구의료원(72.7%) 등 대도시 거점 의료원조차 정원이 부족했으며, 성남시의료원은 충원율이 55.6%로 전국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공의 수련병원으로 지정된 지방의료원 23곳의 전공의 정원은 2023년 143명에서 2024년 29명으로 80%가량 급감했다. 전공의가 0명인 지방의료원도 2023년 12월 기준 8곳에서 2024년 19곳으로 약 2배 이상 늘어났다. 

병원별로 보면, 서울의료원은 83명에서 12명으로 크게 줄었고, 부산광역시의료원도 20명에서 10명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김윤 의원은 "수익성이 낮은 진료 제공하면서 발생하는 지방의료원의 '착한 적자'를 개별 병원의 책임으로 떠넘기는 구조가 문제"라며 "적자로 인건비 지급이 어려워지니 인력 유입은 막히고, 확보된 인력마저 이탈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는 개별 의료기관이 따로 전공의를 모집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만큼, 지역 내 의료기관이 전공의를 공동수련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한다"며 "지역필수의료기금 신설·공공정책수가·성과연동 보전을 통해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보전하고, 지방의료원이 필수의료 인력을 지켜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