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병원 장승훈 교수팀, 70세 이상에서 CT 실시해 폐암 여부 확인
국가검진 제외 고령층도 병변 조기 발견해 치료 가능성 시사

(왼쪽부터) 한림대 성심병원 장승훈,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강혜린 교수(호흡기내과) 
(왼쪽부터) 한림대 성심병원 장승훈,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강혜린 교수(호흡기내과)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국가검진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은 70세 이상 고령자에서 저선량 CT 검사를 1회만 실시해도 폐암을 조기 발견,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한림대성심병원 장승훈, 한림대동탄성심병원 강혜린, 분당서울대병원 이춘택 교수(호흡기내과) 연구팀은 7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저선량 CT를 실시해 이런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2010~2023년에 70세 이상 재향군인 남성 1409명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CT 검사를 1회 시행했다. 이후 3.6년(중앙값)의 추적관찰을 통해 폐 결절 및 폐암 유무, 폐암 병기와 조직학적 분류, 치료 방식 등을 분석했다. 

검진 대상자 평균 연령은 74.2세였고 93%는 현재 흡연자거나 흡연력이 있었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에서 확인된 폐 결절
저선량 흉부 CT 검사에서 확인된 폐 결절

분석 결과, 55.8%(786명)에서 폐 결절이 발견됐고 그중 12.7%(179명)는 양성 폐 결절이었다. 양성 폐 결절은 암이 아니지만 극히 일부가 폐암 진단을 받거나 폐암으로 악화할 수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추적관찰에서는 2.2%(31명)가 폐암 진단을 받았다. CT 검사 후 폐암 진단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9.3개월로 집계돼 고령층에서 폐암이 더 공격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아울러 흡연 여부도 폐암 진단과 관련이 있었다. 흡연자의 폐암 진단율은 3.6%(16명)로 비흡연자 1.9%(2명)나 과거 흡연자 1.5%(13명) 대비 높았다.

폐암 병기는 △1기 48%(15명) △2기 13%(4명) △3기 16%(5명) △4기 23%(7명) 등으로 보고됐다. 61%가 폐암 초기였으며 비교적 조기에 암을 발견해 수술적 치료가 가능했다. 

이외에도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 90%가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등 병기에 맞는 치료를 받았다.

강혜린 교수는 "고령자 대상 저선량 흉부 CT 검사를 1회만 실시해도 폐암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현재 폐암 국가검진 나이가 74세 이하로 제한적이지만, 이번 연구는 75세 이상에서도 조기 발견과 치료가 충분히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장승훈 교수는 "저선량 흉부 CT 검사는 흡연력,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기종 등 폐암 고위험 인자를 가진 고령 환자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며 "향후 폐암 검진 정책 개선과 고령층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Cancers 7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