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 2025] 이스라엘 연구팀, 수술 후 체중·혈당 조절 안돼 약물치료 받은 환자 분석
수술 후 GLP-1 제제 투약군, 수술만 받은 군보다 MACE·사망 위험 67%↓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비만대사수술 후 후속으로 약물치료를 하면 추가적인 심혈관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근거가 제시됐다.
비만대사수술을 받았으나 체중과 혈당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은 2형 당뇨병(이하 당뇨병) 동반 비만 환자는 GLP-1 수용체 작용제(이하 GLP-1 제제) 투약 시 주요 심혈관계 사건(MACE)과 사망 위험이 낮아지면서 체중·혈당이 감소했다.
이스라엘 연구팀이 진행한 이번 후향적 관찰 코호트 연구 결과는 11~14일 스페인에서 열린 유럽비만학회 연례학술대회(ECO 2025)에서 발표됐다.
MACE·사망 발생률, 비만대사수술군 3.2% vs 비만대사수술·약물군 1.2%
비만대사수술·약물군, 시간 지나면서 수술군만큼 체중·혈당 조절
비만대사수술과 GLP-1 제제는 각각 체중 및 혈당 조절 효과와 함께 MACE 위험 감소 혜택을 입증했다. 그러나 비만대사수술 이후 GLP-1 제제를 투약하면 MACE 1차 예방 효과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이스라엘 아리엘대학 Orna Reges 교수 연구팀은 이스라엘 인구 절반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래릿 보건 서비스(Clalit health services)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비만대사수술 이후 GLP-1 제제 치료에 따른 MACE 위험 감소 효과를 조사했다.
연구에는 2008~2018년 체질량지수(BMI) 30kg/㎡ 이상이면서 당뇨병을 앓고 있는 24세 성인 환자로, 비만대사수술만 받은 군(비만대사수술군, 411명)과 비만대사수술 이후 GLP-1 제제를 투약한 군(비만대사수술·약물군, 411명) 데이터가 포함됐다. 여성이 72%를 차지했고 평균 나이는 58세였다.
투약한 GLP-1 제제는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가 76%, 삭센다(리라글루타이드)가 13%를 차지했다. 전체 환자군은 비만대사수술 전 허혈성 심질환, 허혈성 뇌졸중, 울혈성 심부전 병력이 없었으며 GLP-1 제제를 투약하지 않았다.
비만대사수술·약물군은 성별, 나이, 연구 시작 시 BMI, 비만대사수술 이후 경과 시간 등을 고려해 비만대사수술군과 매칭됐다.
비만대사수술·약물군은 GLP-1 제제 투약 이후부터 2023년 12월 말까지 추적관찰했고, 두 군 간 BMI와 혈당 변화, 첫 MACE 발생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등을 비교·평가했다.
평균 1.7년 추적관찰 동안 총 18명이 새롭게 MACE를 진단 받았거나 사망했다. 비만대사수술군 중 MACE 첫 발생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발생률은 3.2%(13명)로 조사됐다. 비만대사수술·약물군은 사망한 환자 없이 MACE만 1.2%(5명)에게서 새롭게 발생했다.
이를 토대로 두 군을 비교한 결과, 비만대사수술·약물군의 MACE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은 비만대사수술군보다 67% 낮았다.
아울러 비만대사수술·약물군의 등록 당시 체중과 혈당 수치가 비만대사수술군보다 더 높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체중과 혈당이 조절돼 비만대사수술군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
Reges 교수는 "이번 결과는 비만대사수술만으로 체중과 혈당이 충분하게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동반 비만 환자는 GLP-1 제제로 이를 지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비만대사수술만으로 혈당과 체중을 성공적으로 조절한 환자군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 또 장기적으로는 MACE 위험을 낮출 수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환자 수가 적다는 한계가 있어 모든 환자에게 이번 결과를 일반화해 적용할 수 있을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공동 연구자인 이스라엘 하샤론병원 Dror Dicker 교수는 "이번 연구는 GLP-1 제제의 심혈관 혜택을 뒷받침한다. 비만 환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심혈관 건강 관리를 위한 추가 치료옵션으로 GLP-1 제제 잠재력을 확인했다"면서도 "비만대사수술 후 GLP-1 제제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내리려면 엄격하게 디자인된 많은 임상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중재가 이뤄지는 최적 시기를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