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후성심근증 환자 진료에 선도적 역할…"세계적 석학들과 교류할 것"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중앙대병원(병원장 권정택)은 홍준화 교수(심장혈관흉부외과)가 최근 중국 국립의대병원인 통지병원의 '비후성심근증 국제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고 15일 밝혔다.
중국 통지병원에서 한국을 대표한 세계 10인의 비후성심근증 국제자문위원으로 위촉된 홍준화 교수는 미국 메이요클리닉 흉부외과 샤프 박사 등 비후성심근증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과 비후성심근증 수술 술기를 교육하고 전수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홍 교수는 2007년 미국 메이요클리닉의 펠로우로 근무하면서 비후성심근증 수술 분야의 세계적 대가인 메이요클리닉 흉부외과 샤프 교수팀에 한국인 최초로 합류해 비후성심근증 수술 경륜을 쌓고, 한국에 돌아와 2009년 중앙대병원에서 심근절제수술을 도입했다.
이후 중앙대병원 비후성심근증 클리닉을 운영하며 한국에서 심근절제수술을 포함한 치료와 연구를 진행, 근본적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비후성심근증 환자 진료에 선도적 역할을 해 왔다.
최근 통지병원에서 개발한 TABSM 수술법은 아주 작은 피부 절개만으로 심장이 뛰는 상태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비후성심근증 수술을 할 수 있어 저명한 미국 국제학술지 Journal of American Colleague of Cardiology에 논문이 게재된 후 세계적 호평을 받고 있다. 이러한 TABSM 수술법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세계적 비후성심근증 분야의 석학들을 이번 자문단으로 선정해 위촉하게 됐다.
홍준화 교수는 "TABSM 수술법은 2024년 12월부터 국내에서도 보험이 적용된 비후성심근증 약물인 캄지오스와 함께 새롭고 효과적인 수술법으로, 세계적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비후성심근증 자문을 맡게 돼, 향후 세계적 석학들과 널리 교류하고 TABSM 등 최신 수술법을 국내에 도입해 비후성심근증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