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노성현 교수팀, 추체간 유합수술 후 관절 통증주사 효과 연구
대조군 대비 통증점수 평균 1.5점 낮아…입원 기간도 단축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국내 연구팀이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OLIF) 이후 발생하는 허리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규명했다.
아주대병원 노성현 교수(신경외과) 연구팀은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 후 관절 통증 주사가 허리 통증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은 나이가 들며 발생하는 퇴행성에 의한 척추관 협착증, 추간공 협착증 등을 치료하는 유합술이다.
척추 유합술은 위아래 척추 뼈 사이에 뼈를 이식해 하나로 합치는 수술을 말한다. 척추 후방 구조물을 건드리지 않아 척추 근육과 인대를 보존하면서 디스크 협착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작고 정밀한 절개를 통해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른 것이 장점이다. 또 수술 과정에서 근육과 신경 손상 위험이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아 당뇨병, 고혈압 등을 앓는 고령 환자에도 적합하다.
하지만 그간 수술 후 추체간 유합 때문에 관절 부분이 벌어지면서 발생하는 통증이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을 받는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인공 디스크 삽입 이후 후방으로 경피적 척추경 나사를 넣기 전 관절 부분에 통증 주사를 시행한 군과 대조군의 통증 정도를 분석했다.
통증 주사 시행군의 통증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점에서 수술 1일차 3.5점으로 낮아졌다. 반면 대조군은 수술 전 평균 6점에서 수술 1일차 5점으로 감소했다.
입원 기간은 통증 주사 시행군에서 평균 7.8일, 대조군 9.1일로 통증 주사 시행군의 입원 기간이 더 짧았다.
노성현 교수는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은 신경외과에서 흔히 시행하지만 수술 후 통증으로 환자들이 고생했다"며 "이런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함으로써 환자 만족도를 더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정형외과학회지 JBJS-Am 최신호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