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국내 도입 이중항체 치료제 효과·안전성 조사
표준치료보다 무진행 생존기간 3배 연장…안전성 비슷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연구팀이 이중항체 치료제로 다발골수종 재발 환자의 무진행 생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박성수(공동교신저자)·민창기(공동교신저자), 가톨릭대 약리학교실 최수인(공동제1저자) 교수 연구팀은 국내 도입된 이중항체 치료제 효과를 조사한 첫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다발골수종은 최근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환자 생존율이 크게 향상됐지만 여전히 재발이 잦고,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가 많아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환자 면역세포를 직접 활용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이중항체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중특이항체 치료법(Bispecific T-cell Engager, BiTE)은 서로 다른 두 가지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해 암세포를 사멸하거나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즉 환자의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이다. 

이중항체 치료제는 범용성과 현장 적용성이 월등해 CAR-T 세포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첨단 면역제제로 주목받는다. 새로운 기술인 CAR-T 세포치료제도 효과적이지만, 환자 혈액에서 T세포를 뽑아 다시 치료제로 제조하는 공정시간이 길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기존 항체 치료나 CAR-T 세포치료제보다 투여 과정이 간편하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이중특이항체 치료법을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적용해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는 의미가 있다. 

연구에서는 기존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 142명을 이중특이항체 치료군(71명)과 기존 표준치료군(71명)으로 분류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이중특이항체 치료군에서 질병이 진행되지 않고 생존하는 무진행생존기간이 기존 표준치료군 대비 3배 가량 연장됐다.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이중항체치료(빨간선)와 기존표준치료를 진행한 후 무진행생존기간을 비교한 결과, 이중항체 치료제를 투약한 환자군에서 암 진행이 지연되는 효과가 확인됐다.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19.2개월 vs. 5.1개월).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이중항체치료(빨간선)와 기존표준치료를 진행한 후 무진행생존기간을 비교한 결과, 이중항체 치료제를 투약한 환자군에서 암 진행이 지연되는 효과가 확인됐다.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19.2개월 vs. 5.1개월).

이중항체 치료제는 기존 치료와 비슷한 수준의 부작용을 보였고 대부분 조절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했다. 일부 환자에서 면역반응이 나타났으나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었다. 빈혈, 혈소판 감소 등 혈액 관련 부작용도 기존 표준치료와 큰 차이가 없어, 국내 환자에서도 안전성을 확인했다. 다만, 감염 발생 가능성을 주의하고 이를 치료과정에서 지속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평가됐다. 

민창기 교수는 "다발골수종은 인구 고령화로 국내 환자가 증가세에 있을 뿐 아니라, 재발이 잦아 환자들이 두려워하는 혈액암"이라며 "이중항체 치료제 효과를 입증한 이번 연구를 통해, 다른 치료법 적용이 어려웠던 많은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성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연구진이 주도해 이중항체 치료제 효과를 최초로 검증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다만 이중항체 치료제를 받는 경우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치료 시작 전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하고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기초면역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2025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개발지원사업(RS-2023-00216446)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Transplantation and Cellular Therapy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이중항체 치료제의 장기적 효과와 최적 활용법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