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醫, 다른 노인 질환에 비해 난청 지원 적어
노인 삶의 영향 커, 우울증과 고립감에 치매 유발 위험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치매 유발의 가장 큰 위험 인자 중 하나인 노화성 난청을 조기 발견하고 관리하는 국가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그 방안으로 노인난청 선별을 위한 청력검사 바우처 지원제도가 제시됐다.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는 19일 제26회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노화성 난청은 노령층 질환 중 관절염 다음으로 흔한 질환으로, 65세 노인인구의 약 30% 정도에서 발견된다. 2019년 기준 국내 인구 15%가 65세 이상임을 고려하면 약 230만명 이상의 노화성 난청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사회는 한국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의치, 보철, 치매, 안검진 및 개안수술 등 다른 노인성 질환에 사회복지가 확대되고 있으나, 노화성 난청에 대한 복지사업 및 혜택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고 지적했다.
의사회 김병철 회장은 "청력 감소는 대략 30대부터 시작되지만, 말소리를 듣는 데 중요한 주파수 영역의 청각이 감소돼 난청을 느끼기 시작하는 때는 40~60대"라며 "중등고도 난청 이상의 경우는 일상생활의 장애가 심각하므로 사회적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인의 청력 장애는 노령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치매 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박상호 서울지회장은 "노화성 난청은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을 야기해 치매로 이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노화성 난청을 조기에 선별해 관리하면 치매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여러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력이 40~50dB인 난청의 경우 장애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청력이 더 나빠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치료받고 보청기를 구입하는 등 웃지 못할 경우도 다수 생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비인후과의사회는 노화성 난청 조기발견과 관리를 위해 청력검사 바우처 지원제도를 제시했다. 노인난청 선별검사 필요성에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부에 바우처 활용을 위한 재정 규모와 부담 주체, 서비스 제공자 및 제공 방법에 대한 구체화 논의를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바우처사업은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선진화 방안에 의해 2007년 시작됐으며, 첫해 3개 사업 2279억원, 2008년 5개 사업 2772억원, 2009년 6개 사업 3201억원으로 확대됐다.
진행 중인 6개 사업은 △노인돌보미 △산모신생아도우미 △장애인활동보조 △가사간병도우미 △장애아동재활치료 △지역사회서비스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