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박해심·박래웅 교수팀 연구 결과 발표
10년 장기 사용 환자,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위험 증가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천식이나 알레르기 치료를 위해 흡입 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를 장기 사용한 성인 환자의 경우 골감소증,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박해심 교수(알레르기내과)와 박래웅 교수(의료정보학교실) 연구팀은 최근 천식·알레르기질환 장기추적 플랫폼(ICARUS)을 활용, 흡입 및 경구용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 시 골다공증·골감소증 위험을 추적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알레르기·천식·면역학회 학술지 ‘알레르기·임상 면역학 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In Practice)’ 최근호에 ‘성인 천식 환자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의 골다공증·골감소증 부작용 연구: 후향적 ICARUS 코호트 연구)’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국내 천식 진료지침에서는 증상 조절 및 악화 방지를 위해 흡입용 스테로이드를 유지 치료제로 사용하고, 증상 악화 시 경구용 스테로이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골감소증, 골다공증 위험이 높아지는 우려가 있었다.
연구팀은 아주대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성인 천식 환자 1252명을 대상으로 흡입·경구용 스테로이드의 장기간(10년) 사용에 따른 골감소증, 골다공증, 골절 위험도, 골 대사 변화치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인 천식 특히 50세 이후 여성에서 경구용 스테로이드의 복용량이 높을수록 골다공증과 골절 위험도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또 흡입 스테로이드의 경우 골다공증에 변화는 없었지만, 골감소증 위험률이 1.9배 증가했다.
박래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10년 이상 치료해 온 환자들의 임상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성인 천식 환자 치료에 필요한 가이드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해심 교수는 "성인 천식 환자에서 장기 치료 시 잦은 천식 악화로 인한 경구용 스테로이드 사용 증가가 골다공증과 골절 위험률을 높일 수 있따는 것을 확인했다"며 "경구 혹은 흡입형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발생에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