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병 구조전환 지원사업 1차 선정기관 8개소 공고
중증 중심 진료 위한 진료체계 구축…전공의 근무환경 개선 본격 시행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이 본격 시행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1차 선정 기관으로 총 8개소를 선정했다.

1차 선정 기관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등이다.

선정된 8개 기관은 병원 감축계획과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 참여, 구조전환 이행계획 수립 시 선정자문단 심의의 거쳐 선정됐다.

상급종병 구조전환 지원사업은 상급종병이 중증응급 중심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의료전달체계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의료계 의견을 반영하고 현장의 의견을 30차례 수렵해 마련됐다.

8개 상급종합병원이 구조전환에 착수하면서 과도한 진료량 경쟁과 병상 확장 방향에서 벗어나 환자의 건강개선과 의료 질 제고에 집중하는 의료공급체게로 이행이 본격 시작된다.

상급종병과 진료협력병원 간 긴밀한 협력을 촉진하고 상급종병이 경증진료를 줄이면서 중증응급 환자를 적시에 진료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 전공의에 대한 밀도 있는 수련 환경 구축 등 임상과 수련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상급종병이 안정적으로 구조전환을 할 수 있도록 중환자실, 입원실(2~4인실), 중증수술, 24시간 진료지원 등에 대한 수가를 인상한다.

24일 기준 8개 상급종병 모두 이미 병상 감축 변경 허가가 이뤄져 이번주부터 상향된 수가를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는 상급종병 구조전환 지원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3년의 지원사업 기간 중 의료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지속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특히 상종이 중증 중심의 안정적인 전환이 되도록 상종에서 진료해야 하는 적합질환군을 보완하는 것에서 나아가, 현행 중증환자 분류체계를 단순히 상병 기준이 아닌 연령, 기저질환 등 환자의 상태를 반영하는 새로운 분류 기준으로 전환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선정된 8개 상종 외 현재 10개 상종이 신청서를 제출한 상황이다.

초기에는 주 단위로 선정하면서 준비가 된 상종에는 조속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구조전환에 좀 더 시간이 필요한 상종은 상황에 맞게 충분히 준비하고 들어올 수 있도록 연말까지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정경실 의료개혁 추진단장은 "상급종병 구조전환을 통해 바람직한 전달체계로 이행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세밀히 살필 것"이라며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가면서 계속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