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복지부 제출 자료 공개
2024년 8월 말 기준 산부인과 전문의 6082명…평균연령 54.4세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산부인과 전문의 10명 중 3명은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0.24명으로 0명대에 그쳤으며, 17개 시도 중 12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지난 20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8월 말 기준 전체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6082명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전문의의 평균연령은 54.4세로, 전체 산부인과 전문의의 1/3은 법정 정년인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전문의는 708명으로 전체의 11.6%에 불과했는데, 그중 30세 미만 전문의는 9명에 그쳤다. 향후 전문의 고령화에 따라 산부인과 의사 부족이 우려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60.8세), 전북(59.6세), 전남(59.1세) 순으로 산부인과 전문의의 평균연령이 높았다. 전국 평균인 54.4세보다 낮은 지역은 대구(54세), 경기(53세), 서울(51.8세), 세종(51.5세)의 4개 지역에 그쳤다.

한편 여성인구 1000명당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전국 평균 0.24명으로 채 1명도 되지 않았다. 전국 평균보다 산부인과 전문의가 더 많은 지역은 서울(0.34명), 광주(0.29명), 대구(0.28명), 부산(0.28명), 대전(0.25명)으로, 모두 특별시와 광역시였다.

산부인과 의사의 고령화가 가장 심했던 경상북도는 여성 인구 1000명당 0.16명으로 전문의 수가 가장 적었다.

박 의원은 “산부인과 전문의 10명 중 3명은 이미 법정 정년을 넘겼음에도 불구하고, 30대 이하 전문의는 10명 중 1명에 불과하다”며 “지방일수록 전문의 수도 적고 평균연령도 높아 향후 산부인과 의료 공백이 우려되는 만큼, 지역의 공공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