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강원도의사회 김택우 회장 의협 출입기자단 인터뷰
"의협 집행부, 계획·진정성·능력 보여줘야 할 때"
"전공의·의대생 등 젊은 의사의 회무 참여 위해 배려 보여달라"
"비대위, 집행부 명확한 관계 설정 필요"

강원도의사회 김택우 회장은 21일 의협 출입기자단과 인터뷰를 통해 "의협 집행부는 회원을 위해 계획을 제시하고 진정성과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강원도의사회 김택우 회장은 21일 의협 출입기자단과 인터뷰를 통해 "의협 집행부는 회원을 위해 계획을 제시하고 진정성과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의료계 앞에는 의대 증원과 간호법 제정 저지 등 해결할 과제가 쌓여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한의사협회가 계획을 수립해 실천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강원도의사회 김택우 회장은 21일 의협 출입기자단과 인터뷰를 통해 "의협 집행부는 회원을 위해 계획을 제시하고 진정성과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의협 집행부가 투쟁 선명성을 강조한 만큼, 이제는 회원에게 구체적인 계획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특히 의협 집행부가 시도의사회와의 소통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쟁 방향성과 진행은 집행부 몫으로 모든 역량을 동원해 회무에 임해야한다. 의대 증원과 간호법 등도 진정성을 갖고 계획을 제시하는가에 따라 (결과가)달라질 수 있다"며 "그런 방향으로 의협 집행부는 회무를 진행해야 하고, 소통하는 회무와 정책적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회원과 시도회장단이 (의협 집행부의)마음을 알 수 있도록 회무에 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계획과 진정성,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이 소통을 강조하는 이유는 의료계가 분열해선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공의와 의대생 등은 의협 집행부를 신뢰하지 않는 모양새다.

실제로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의협회장의 대표성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김 회장은 "이 또한 의협이 진정성과 제대로 된 계획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전공의와 의대생의 요구사항이 있는데, 그들의 요구사항을 개선해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제언했다.

이어 "젊은 의사의 회무 참여와 정책 참여의 장을 폭넓게 하기 위한 배려를 보여달라"고 덧붙였다.

비대위 설치보단 협회 회무 비상체제 전환 중요
비대위-집행부, 명확한 관계 설정 확립

현재 의협은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활동을 멈춘 후 특별한 행보를 보이고 있지 않고 있다.

김 회장은 "특위 구성과 진행 과정 중 발생한 문제로 중단된 이번 경험을 토대로 소통을 강화하고, 결정과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면서 "아무리 좋은 정책을 제안해도 국민이 제대로 알지 못하면 정책은 생명을 잃기에 언롱홍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의협 대의원회는 오는 31일 임시총회를 열고 의대증원 및 간호법 저지 등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설치를 논의할 예정이다.

비대위 설치에 대해 김 회장은 "비대위 구성보다는 협회 회무를 비상체제로 전환해 대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만약 비대위가 구성되면 실행력이 담보된 시도의사회 핵심 구성원이 참여하는 게 선결 요건"이라고 밝혔다.

전파력과 조직력, 실행력 등 일사불란한 체계가 필요하고 의협회장에게 주어진 권한 이양과 예산 등 모든 역량을 비대위가 관할하는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김 회장은 "협회와 비대위의 명확한 관계 설정 확립이 선행돼야 비대위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다"며 "투쟁 방식의 새로운 변화와 정확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언론홍보와 정책연구소 등을 활용해 정책 대안을 사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