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대병원 교수 54.7% 휴진
의협, 휴진 않는 조건으로 정부에 3대 제안 제시했지만 정부는 불수용 의사 밝혀
임현택 회장은 국민의 힘 인요한 의원 면담...서울의대 교수들은 보건복지위 위원들 만나

17일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휴진에 들어간다. 
17일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휴진에 들어간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예고한 대로 오늘부터 휴진에 들어가고, 대한의사협회가 주도하는 총궐기대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의료계가 혼돈에 빠졌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이상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위원장 강희경 교수)는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휴진 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교수 529명(54.7%)이 휴진에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는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비대위 강희경 위원장은 "15일 오후 8시 조사 결과,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합계 수술장 예상 가동률은 62.7%에서 33.5%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집계된 스무 개의 임상과 모두가 휴진에 참여할 예정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위에서는 응급 및 중증환자와 희귀/난치환자를 포함해 진료를 유지하는 교수들의 휴진 지지 성명서를 받고 있다"며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해당 성명에는 만 하루 만에 344명의 교수가 동참했다"며 "휴진에 참여하는 529명과 성명서를 제출한 344명 등 총 873명의 교수(90.3%)가 휴진 지지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협, 집단휴진 철회 조건 공개...정부는 불수용 

의협이 16일 정부를 대상으로 집단휴진을 하지 않는다는 3대 조건을 제시했지만, 정부는 불수용 의사를 밝혔다. 
의협이 16일 정부를 대상으로 집단휴진을 하지 않는다는 3대 조건을 제시했지만, 정부는 불수용 의사를 밝혔다. 

의협이 18일 집단휴진 철회 조건으로 정부에 3대 요구안을 제시했지만, 정부는 즉각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18일 전국 의사 휴진에 앞서 세 가지 요구에 대해 16일 23시까지 답해달라고 요구했다. 

의협의 요구 조건은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 및 보완, 전공의·의대생에게 내려진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취소 및 사법 처리 위협 중단 등이다. 

의협은 "해당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18일 전면 휴진 보류를 묻는 전회원 투표를 17일 진행하고 결정하겠다"며 "그렇지 않으면, 전국적 집단 휴진을 진행하고 이후 무기한 휴진을 포함한 전면적 투쟁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밤 11시까지 기다리지 않고, 오후 4시 50경 즉각 "휴진을 전제로 한 요구는 적절하지 않다"며 "의대 증원 등에 대한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불수용 입장을 분명히 했다. 

복지부는 "의협이 불법적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부에게 정책 사항을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의대 정원과 전공의 처분은 정부가 이미 여러차례 설명하였고,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발표했다. 

또 "의협은 18일 집단휴진을 조건 없이 중단하고, 의료계가 정부와의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현안 해결방안을 모색하기를 강력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14일 의협 임현택 회장과 국민의힘 인요한 의원(사진 오른쪽)이 만나 의료 현안을 논의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14일 의협 임현택 회장과 국민의힘 인요한 의원(사진 오른쪽)이 만나 의료 현안을 논의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주말 동안 정치권이 집단휴진 등을 막기 위해 나섰지만 성과는 없었다.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 위원들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를 만났지만, 현 상황을 재확인하는 선에서 그쳤고, 의협 임현택 회장이 국민의 힘 인요한 의원(의료개혁특별위원장)을 만났지만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 

오늘 서울대병원 휴진을 시작으로, 18일 개원가 집단휴진, 27일 연세의료원 휴진, 울산의대와 가톨릭의대 등도 휴진 동참을 논의 중이라 한치앞을 볼 수 없는 불안한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