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4월 1일부터 임신 준비 부부에게 가임력 검사 국가지원
보건소 방문 또는 e보건소 통해 신청 가능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4월 1일부터 임신 준비 부부라면 소득수준 및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필수 가임력 검사비 여성 13만원, 남성 5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서울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와 함께 임신 준비 부부가 임신·출산의 고위험요인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4월부터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여성에게 난소기능검사(AMH)와 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제공한다. 난소기능검사는 전반적 가임력 수준을, 초음파 검사는 자궁근종 등 생식건강 위험요인을 알 수 있어 여성건강증진 전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성에게는 정액검사를 지원해 전체 난임요인에 약 40%를 차지하는 남성 생식건강 관리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한다. 가임력 우려 소견이 있을 경우 난임시술, 난자·정자 보존 등 가임력 보존 계획도 가능하다.
검사 신청은 주소지 관할 보건소 혹은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을 통해 가능하며, 검사 신청 후 발급받은 검사의뢰서를 지참해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받으면 된다.
검사비용은 서비스 이용자가 의료기관에 선지불하고 추후 보건소를 통해 비용을 보전받게 된다. 여성 검사비는 13~14만원 중 13만원을, 남성 검사비는 5~5.5만 원 중 5만 원을 환급받는다. 비용은 의료기관마다 다르다.
신뢰도 높은 가임력 검사 제공을 위해 필수 전문인력 및 장비·시설을 갖춘 전국 1,051개 산부인과·비뇨의학과 병·의원이 참여한다.
서비스 이용자는 주소지와 무관하게 검사를 희망하는 전국(서울시 포함)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가임력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참여 의료기관 명단은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알림] 진흥원, 제약산업 글로벌 진출 심화 컨설팅 지원
- [알림] 국산 백신·원부자재 성능시험 지원 사업 공고
- [알림] 권역별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기관 공모
- [알림] 진흥원, BIO KOREA 2024 비즈니스 파트너링 등록 오픈
- [알림] 복지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기업 공모
- [알림] 장애인 건강주치의 4단계 시범사업 실시
- 독거 노인 누구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 가능
- [알림]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접수
- [알림] 2024년도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접수
- [알림] 대한재택의료학회, 제2회 춘계 심포지엄 개최
- [알림] 질병청, 2024 말라리아 심포지엄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