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제4차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개최
참여 위원들 방역상황 엄중 선제적 조치 필요 공감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지속적인 일상회복을 위해서는 방역수칙 이행력을 담보할 수 있는 민관협력이 필요해 보인다.

정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4차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 이후 코로나19 상황평가 및 대응방안 ▲시·도 및 시·군·구 추진단 일상회복 추진사항 등이 논의됐으며, 포용적 회복 연구단 이태수 공동단장이 일상회복정책의 추진 목표와 전략을 제언했다.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공동간사인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에 따른 코로나19 상황을 평가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 이후 사회적 이동량 증가, 소비 진작 등 점진적 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방역긴장감 이완, 돌파감염 증가 등으로 고령층·청소년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서 병상 부담이 가중되는 등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복지부는 선제적 조치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의료체계 전환과 추가접종을 신속히 추진하고 있다.

권 장관은 방역조치의 이행력 담보를 위해 정부 합동 및 지역 단위 점검을 강화하고, 방역긴장감 유지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가 필요하다 강조했다.

이어 포용적 회복 연구단 공동단장인 이태수 보건사회연구원장은 더 나은 대한민국을 구성하기 위한 추진 목표와 전략을 제시했다.

일상회복 지원위원회와 이를 구성하는 각 분과는 포용적 회복 연구단과 지속적인 협업과 연계를 통해 일상회복 이행에 필요한 과제를 발굴하고 정책 반영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현시점의 방역 상황이 엄중하다는 점에 같이 인식하고, 일상회복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또 지속적인 일상회복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방역수칙이 이행력 담보를 위한 민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일상회복 지원위원회에서 수렴된 의견과 자문은 정부에 전달될 예정이며, 정부는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 회의 등 다양한 논의 거쳐 정책 반영을 검토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