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과의사회, 선제적 방역정책과 밀어붙이기식 방역패스 재고 촉구

대한내과의사회는 방역당국의 우와좌왕 코로나19 정책에 대해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선제적 방역대책 수립과 밀어붙이기식 방역패스 재고를 촉구했다.(자료사진 대한내과의사회 추계 학술대회 간담회 장면).
대한내과의사회는 방역당국의 우와좌왕 코로나19 정책에 대해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선제적 방역대책 수립과 밀어붙이기식 방역패스 재고를 촉구했다.(자료사진 대한내과의사회 추계 학술대회 간담회 장면).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방역당국의 우와좌왕하는 코로나19 정책에 대한 의료전문가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의료전문가들은 선제적 방역정책 수립과 밀어붙이기식 방역패스 재고를 촉구하고 있다.

대한내과의사회는 10일 '우왕좌왕하는 코로나19 정부 정책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성명을 통해 원칙없는 방역정책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책임자 문책을 요구했다.

내과의사회는 장기간의 거리두기 정책으로 국민의 피로도가 증가했고, 정부의 섣부른 방역조치 완화로 3, 4차 대유행이 촉발됐다고 비판했다.

또 정부의 오락가락한 방역지침과 한발 늦은 백신접종, 대책없이 시작한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인해 일일 확진자가 7000명을 넘어섰고, 사망자 및 위중증 환자가 속출하는 5차 대유행에 접어들었다고 지적했다.

의사회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음식의 간을 보듯 거리두기 단계만 올렸다 내렸다 하고 있다"며 "백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접종해야 함을 강력하게 권고했다"고 때 늦은 백신접종을 비판했다.

이어 "국가예방접종을 묵묵하게 주도한 1차 의료기관은 불길에 뛰어든 소방관의 심정으로 정부가 요구하는 과도한 행정업무를 마다하지 않고 코로나 극복을 위해 접종업무를 시작했다"며 "하지만, 현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면역 취약계층의 부스터샷과 청소년층에 대한 백신접종에 대해 미리 치밀한 준비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현재 코로나19로 인한 위중증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이미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

의사회는 "백신접종이 코로나19의 확산세를 잠재우고 일상 회복을 위한 지름길"이라면서도 "최근 백신 패스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의사회는 적용시설의 기준이 애매모호하고 의학적인 사유로 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국민에 대한 예외기준도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얼마 전까지만 해도 백신의 안전성을 고려해 자율에 맡겼던 청소년층의 백신접종을 확진자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이유만으로 백신접종의 효과와 이상 반응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구하지 않고 강압적인 백신 패스 정책을 밀어붙이는 정부에 대해 국민들은 분노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우리나라에서의 코로나19 발생의 추이와 해외의 유행상황을 통해 예측되는 상황에 대비하고 선제적인 지침을 마련했다면 지금의 혼란은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의사회는 "갈팡질팡하는 코로나19 정부 정책은 지금까지로도 충분했다"며 "정부는 백신접종 지침의 잦은 변경을 당장 중단하고 현장에서의 혼란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의료계와 긴밀히 협의하여 의학적 근거를 갖춘 선제적인 방역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국민도 안중에 없는 밀어붙이기식 방역 패스는 재고하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