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은영 교수팀, miR-122의 허혈성 간손상 완화 기전 밝혀내
miR-122 유전자 발현 활성화 방식의 약물 개발 가능성 제시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융합의학과 탁은영 교수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융합의학과 탁은영 교수

[메디칼업저버 양민후 기자] '허혈성 간손상’을 완화하는 매커니즘이 규명됐다.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융합의학과 탁은영 교수는 미국 텍사스의과대학 건강과학센터 신시아 주(Cynthia Ju)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허혈성 간손상 시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miR-122 유전자를 주목했다. 해당 유전자가 간 손상 완화에 기여하는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는 허혈성 간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작됐다. 분석 결과, miR-122 유전자 발현으로 PHD1 유전자가 억제되자 허혈성 간손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항상성 유지 전사인자인 HIF-1α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현상은 사람에게서도 확인됐다. 생체 간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생검 조직을 분석한 결과, PHD1 유전자는 억제된 반면 HIF-1α 전사인자와 miR-122 유전자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탁 교수는 “허혈성 간손상은 간이식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이식된 간의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miR-122 유전자가 허혈성 간손상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규명했고, 허혈성 간손상 억제를 위해 miR-122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하는 방식의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조사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동맥질환 발생 시 또는 장기이식 수술 과정에서 혈관이 막혀 혈액 공급이 일시 중단될 수 있다. 혈액 흐름이 복구될 때 산소 공급이 급격히 이뤄지면서 조직이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허혈성 재관류에 의한 허혈성 손상이라고 한다.

그 동안 허혈성 간손상 억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