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까지 총 64개 혈액투석 기관에서 127명 확진자 발생
양병원 중심 집단감염
투석받는 자가격리자, 해당 기관에서 코호트 격리 투석받아야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가 전국적으로 코로나19(COVID-19)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인공신장실 관련 코로나19 확진자도 크게 늘어 비상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전국 투석병원에서 진행해야 할 코로나19 대응지침을 11일 공지했다.
학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일까지 총 64개 혈액투석 기관에서 127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투석 환자는 107명, 의료진은 15명, 기타 5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됐다.
문제는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코로나19 치료기관의 혈액투석 치료병상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전원이 지연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러 기관에서 혈액투석 치료병상을 확충했고 대한신장학회와 중앙사고수습본부 환자병상관리팀이 협조해 확진된 투석환자를 최대한 빨리 코로나19 치료 가능 병원으로 전원 조치하고 있으나, 확산되는 코로나19 환자를 모두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학회에서는 전국 투석병원에 코로나19 대응지침을 공지했다.
먼저 투석을 받는 자가격리자(접촉자)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코호트 격리투석을 하는 것이 원칙이며, 다른 투석 환자들과 분리해 별도의 시간에 따로 투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학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까지 지침을 충실히 적용해 진행했던 기관에서의 접촉자 코호트 격리투석 중 n차 감염 사례는 거의 없었다. 40명 이상의 환자와 의료진이 자가격리돼 코호트 격리투석을 진행했던 경우에도 추가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어 코로나19 치료병상이 제한된 상황에서는 증상이 없고 입원격리가 필요하지 않는 자가격리자의 경우 기존에 투석 받던 의료기관에서 격리투석을 담당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현재 인공신장실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준수하고 철저한 감염관리를 하는 것이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학회 코로나19 대응팀 이영기 투석이사(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학회에서는 인공신장실 관련 코로나19 상황을 회원들과 공유하고, 인공신장실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등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인공신장실 대응지침을 충실히 준수했음에도 인공신장실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나온다면 코로나19 투석전담병원을 지정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대한신장학회, 만성 콩팥병 환자 투석법 선택 임상 착수
- 만성 콩팥병 식단 '스마트폰 앱'으로 쉽게 관리
- 대한신장학회, 노인 콩팥병 환자를 위한 진료지침 개발 착수
- 대한신장학회 "투석환자 국가등록제 추진한다"
- 대한신장학회, '콩팥지킴이주간' 대국민 홍보
- "연명의료 중단 고려 시 투석 중단·유보에 긍정적"
- 대한신장학회 'KRCP' 의학저널, SCIE 국제학술지로 등재
- 신장학회 "혈액투석 환자에서 골절발생 시 심근경색 주의"
- [행사] '코로나19 유행 이후 인공신장실 안전성 확보 대책' 토론회 개최
- “인공신장실 인증제와 투석전문의제도 필요”
- 인공신장실 운영 규정 개정 병원현실과 맞지 않아 신중해야
- "인공신장실 권고안 '투석전문의' 기준 양보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