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틸페니데이트 성분 의약품 안전사용 도우미 서한 발송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식약처가 ADHD 치료 사용 분석을 통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수집된 정보를 활용해 의사에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증후군(ADHD) 치료 관련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 서한을 제공한다.
이번 서한은 향정신성의야굼 중 ADHD 치료에 사용하는 메틸페니데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약류의약품 사용을 분석해 처방 의사별로 종합 분석한 자료이다.
서한은 전국에 있는 6073개 의료기관 약국에서 지난해 1년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한 150만건의 마약류 투약·조제정보를 분석해 작성됐다.
도우미 서한은 △전체 의료용 마약류 △ADHD 치료제에 대한 통계 △의사 본인의 처방현황 △항목별 비교 통계로 구성돼 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1850만명으로, 국민 2.8명 중 1명에 해당된다.
성별로는 여성이 57.1%를 차지했으며, 연령대별로는 50대가 21.7%, 효능군별로는 마취·진통제가 30.4% 처방됐다.
또, 같은 기간 동안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는 13만4000명으로 국민 399명 중 1명이 처방받았다.
특히, 10대와 20대 환자는 6만9000명으로 같은 연령 인구 170명 중 1명이 해당됐다. 남성이 63%, 10대가 34.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의사에게는 ▲처방현황(건수, 처방량, 환자수, 1인당 사용량 등) ▲처방 상위 질병 ▲월별 및 소아·청소년 사용량 ▲환자 1인당 사용량 비교(지역·진료과목) ▲5세 이하 소아 처방 ▲365일분 초과 처방 등 12종의 통계정보를 제공해 본인의 처방내역을 확인하고 과다처방 등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식약처는 "이번 서한이 의료용 마약류의 적정 처방과 사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올해 추가로 5월 경 진통제, 8월 경 항불안제, 11월 경 프로포폴·졸피뎀·식욕억제제 3종에 대한 서한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식약처는 올해 추진되고 있는 온라인 도우미 서한 시스템이 구축되면 보다 많은 의사에게 의료용 마약류 처방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