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응급의료 개선방안 복지부에 제안...경남도의사회 “1339 부활해야”

지난달 30일 전주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두 살배기 아이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응급의료 강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협은 19일 기자브리핑에서 응급의료 강화를 위한 기본방향을 담은 5대 개선방안을 복지부에 제안했다. 

의협 김주현 대변인은 “제도나 규정에 응급의료의 체계나 역할을 명시하는 것만으로 응급환자에 대한 제대로 된 대응은 이뤄지기 어렵다”며 “보다 효율적인 운영 제도를 마련하는 한편 재정지원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의료체계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등 일관되고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의협은 ▲응급의료 평가 및 개선활동, 지원 강화 ▲효율적 응급환자 전원시스템 마련 ▲중증 및 경증 응급환자 분담체계 마련 ▲응급의료체계와 의료전달체계의 비대칭 문제 해소 ▲지방 및 응급의료 취약지에 대한 지원책 마련 등을 복지부에 제안했다. 

우선 응급의료 평가 및 개선활동과 지원 강화에 대해서는 응급의료센터와 외상센터들이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련법령에 평가, 개선활동, 재정 및 운영 지원 등을 보완할 것을 요구했다.

또 중증 응급환자에 대한 적절한 처치와 전문적 치료가 가능토록 외상센터를 포함, 응급의료체계 내 협의 및 전원 시스템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중증환자와 경증환자를 분담할 수 있는 체계와 응급의료체계와 의료전달체계 간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환자를, 지역응급의료센터는 경증환자를 담당하는 분담구조 마련이 필요하다”며 “이를 논의할 수 있도록 지역 응급의료위원회를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응급환자는 응급의료자원 뿐만 아니라 배후 임상과와 의료기관의 협력과 자원을 필요로 하는 만큼 의료전달체계와 응급의료체계 간의 조화로운 연결이 중요하다”며 “의료인과 의료기관이 의료전달체계와 응급의료체계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인적, 물적 자원의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방 및 의료취약의 경우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이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경남도의사회는 정부가 응급의료 인적 자원을 육성하는 한편,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 복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남도의사회에 따르면 국내 소아외과 전문의는 30여명으로, 이는 일본의 3%, 미국의 1%에 불과하다.  

경남도의사회는 “소아외과 전문의는 업무량이 과중하고 높은 수술 위험도가 높을뿐더러 12년간의 긴 수련과정을 견딜 지원자도 없는 상황:”이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남도의사회는 “우리는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의 폐지가 정책적 오류라는 점을 강조해온 바 있다”면서 “이번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행했던 전원조정센터를 전국의 각 권역별로 구축하고, 전국적으로 단일한 번호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의협은 복지부가 전북대병원 등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취소 결정은 재고해야 한다고 표명했다. 

의협 김주현 대변인은 “복지부가 전북대병원에 권역응급의료센터 취소를 결정한다면 그 피해는 지역주민들이 떠안게 될 것”이라며 “지역 주민들도 권역응급의료센터 취소에 반발하고 있는 만큼 복지부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