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치료 편견과 민간보험 가입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부터 없애야

최근 복지부가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정신건강증진 및 자살예방'을 선정한 가운데, 대한신경정신의학회도 이를 적극 환영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다만 학회는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계획을 실행하면, 오히려 자살 위험을 높이고 국가적 부담이 늘어날 수 있어 보다 실질적인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몇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정신과 치료 대한 편견과 민간보험 가입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을 없애고, 자살 위험에 대한 △생물학적 취약요인 △심리사회적요인 등을 평가한 후 통합적인 치료가 가능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울증 치료에 대해서는 "자살의 임상적 원인 중 하나인 우울증 양상이 매우 다양해 항우울제 처방만이 해결점은 아니다"고 명시했다.

과거 각종 매체를 통해 우리나라가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1위인 반면 항우울제 처방은 28개국 중 27위로, 1차 의료기관에서 우울증 치료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학회는 무분별한 항우울제 복용은 오히려 감정기복을 심하게 만들고, 조증, 충동성, 자살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신건강의학과가 아닌 타과에서 우울증 환자를 치료할 때 알아둬야 할 부분도 함께 언급했다.

타과에서 경증 우울증 치료 시 필히 환자에게 우울증 진단에 대해 상세히 알리고 난 후 약물을 처방하라는 것. 경증 우울증도 신중한 치료반응 평가와 치료효율성을 높이는 지침서를 바탕으로 치료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학회는 환자가 △2개월간 진행된 치료로도 충분히 회복되지 않거나 △공존하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있거나 △자살 위험이 있는 경우 전문적인 치료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로 의뢰할 것을 제언했다.

이 밖에 정부가 제시한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예방대책 및 도시형 및 농촌형 사업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자살 고위험군을 치료한 임상경험이 풍부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참여하고, 학회와의 협력을 통해 정신건강증진센터, 치매예방센터 등 기존에 구축돼 있는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