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특성 차이 근거해 치료도 차별화해야
서양 중심 치료전략 그대로 답습은 곤란

 
옷도 체형과 개성에 맞춰 입는다. 하물며 인간의 삶과 생명에 직결되는 질병을 치료하는데 개별성과 다양성, 더 나아가 독창성이 담보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선천적·후천적으로 천차만별의 양상을 보이는 각각의 생체와 질환에 관한 이야기라면 그 필요는 더해진다.

△ 한국인에 맞는 치료를···
한국인의 몸에 맞는, 그들만의 독특한 유병특성에 초점을 둔 독창적인 치료전략(맞춤치료)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 때 보다 높다. "인종·지역 간 유병특성의 차이가 엄연히 존재하는 만큼, 이들 전체를 하나의 동일한 틀이나 표준에 꿰어 맞추지 말고, 치료 역시 그에 상응하는 차이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과 함께 질병, 특히 만성질환의 인종·지역 간 유병특성 차이에 대한 보고들이 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인과 서양인의 유병특성 차이가 유전적·환경적 요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기전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이 한창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환자 개개인의 임상특성을 고려한 맞춤치료의 실현 가능성도 한층 더 가시화되고 있다.

△ 한국인의 인슐린 분비능 
최근에는 서울의대 박경수(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이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11월 11일자 온라인판'에 보고한 연구논문이 한국인 만성질환의 유병특성에 대해 명쾌한 답변을 제시, 국내외 학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인은 전통적으로 서양인에 비해 비비만형 당뇨병이 많고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도 떨어진다는 것이 중론이었다. 박 교수팀은 10년간의 추적·관찰연구를 통해 이 주장, 즉 상대적으로 감소돼 있는 인슐린 분비능의 문제가 한국인 당뇨병 발생의 주된 원인이라는 것을 규명했다.

이 유병특성을 임상에 적용할 경우, 한국인 당뇨병 환자의 치료 시에 인슐린 분비능 개선에 좀 더 초점을 두는 맞춤형으로 전환해 볼 수도 있다.

△ 전통과 서구화의 병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인 만성질환의 유병특성은 크게 두 가지 갈래로 흐름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오랜 기간 해당 지역 만의 독특한 생활습관이나 지리·사회·문화·경제 환경 속에서 서양과 구별되는 질환특성이 부각되는 것이다. 이 경우 유전적 요인이 개입됐을 가능성이 크다.

둘째는 최근에 두드러지게 관찰되는 경향으로, 전통적 생활습관이 서양을 따라 변모하기 시작하면서 질환의 특성 또한 점차 서구화돼 가고 있는 현상이다. 아시아 지역은 기존의 전통적인 유병특성이 유지되는 동시에, 질병패턴의 서구화가 공존하는 과도기 단계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혈압에 의한 뇌혈관질환 유병률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비중이 컸던 출혈성은 감소하는 반면 허혈성 뇌졸중이 증가하는 서구의 패턴을 따라가고 있다.

서양에 비해 비비만형 당뇨병이 여전히 많으나, 비만형과 함께 인슐린저항성 역시 급증하고 있다. 이상지질혈증은 전통적으로 고중성지방혈증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비중이 높았지만, 상대적으로 서양인에서 강세였던 고LDL콜레스테롤혈증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서양 치료전략 답습 벗어나야
한국인 만성질환의 유병특성을 고려한다면, 이를 치료하는 전략도 서양인 중심에서 우리나라 환자 중심으로 달라져야 한다. 구별되는 유병특성이 상존(尙存)하는데도 불구하고, 서양인을 치료하던 패턴을 관용(慣用)적으로 답습해 우리나라 환자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정확한 맞춤치료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만성질환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유전·환경적 요인에 의한 임상특성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 이를 통해 서양과 차이를 보여 왔던 유병특성에 근거한 치료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특히 전통적 특성과 서구화 패턴이 공존하고 있는 만큼, 개별 환자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치료전략을 임상특성에 맞춰가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 한국인 기초·임상데이터 구축부터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질병의 인종·지역적 다양성은 최근 신흥시장으로 부각중인 아시아 지역 연구결과가 급증하는 과정에서 소수의 데이터만이 축적되는 수준이다.

인종에 따른 치료전략의 다변화를 이끌어 내기에는 아직 양·질 모두에서 부족함이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질환특성에 대한 역학 데이터를 비롯한 연구결과가 여전히 모자라는 실정이다.

한국인 대상의 임상시험 데이터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에서는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 하나 만들기도 힘들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 의학계는 무던히도 애를 써 왔다. 학계는 자구노력과 정부지원을 등에 업고 한국인 만성질환에 관한 기초·임상 데이터를 홍수처럼 쏟아내고 있다.

정·산·학 협력 차원에서 다기관·무작위·대조군 임상연구(RCT)가 국내에서 다수 진행되는 등 양질의 임상 데이터도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 독자적 임상 가이드라인 길 열어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이렇게 축적된 한국인 만성질환 데이터는 한국인에 맞는 치료전략을 수립하고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대한고혈압학회 등이 한국인의 임상특성 근거에 힘을 실은 당뇨병·이상지질혈증·고혈압 진료지침을 만들 수 있었던 것도 이에 힘입은 바 크다.

현시점에서 한국인 만성질환의 유병특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에 근거해 어떻게 치료를 달리해야 할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의학계의 매우 중요한 과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