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암병원 신동욱 교수와 충북의대 박종혁 교수, 암치료 중 약물 부작용 고지 설문조사

▲ 서울대암병원 신동욱 교수
▲ 충북의대 박종혁 교수

암 치료 중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문제를 두고 암환자와 가족은 암전문의와 큰 의견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암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와 충북의대 박종혁 교수가 2012년 국내 13개 의료기관의 암환자와 가족 725쌍, 암전문의 134명을 대상으로 ‘의사가 암 치료 중 약물 부작용을 어느 수준까지 환자에게 알리는 게 좋을지’를 각각 물었다.

그 결과 환자들은 치료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83.7%,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는 87%가 본인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또 증상조절 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82.1%가,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 86.3%가 본인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환자 가족들도 동일한 질문에 대해 치료약물(77.5%, 81% / 경미한 부작용, 심각한 부작용)과 증상조절약물(75.9%, 81.5%) 모두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암전문의들은 환자와 환자가족과는 차이를 보였다.

암전문의들은 치료약물의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 23.9%만이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답했고, 부작용이 심각한 경우에는 70.2%가 알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증상조절약물도 이 비율은 각각 20.2%와 60.5%로 나타나, 환자와 가족에 비해 매우 낮았다.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방법에서도 환자와 가족은 의료진과 다른 점을 보였다.
환자와 가족은 “1000명 중 10명” 등과 같이 정확하고 구체적인 수치로 알리는 것을 가장 선호했지만 암전문의는 “있을 수 있다”처럼 가능성 정도만 알리는 것을 가장 원했다.

또 환자(41.8%)와 가족(48%)에 비해 암전문의(73.1%)는 책자, 영상 등 교육 자료를 통해 알리는 것을 크게 선호하는 특징을 보였다.

설명간호사를 통해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환자(51.3%)와 가족(52.6%)은 암전문의(85.1%)와 의견 차이를 보였다.

신동욱 교수는 “환자와 가족이 교육 자료나 설명간호사의 설명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은 본인의 상태를 잘 아는 담당의사와의 쌍방향 의사소통을 원하기 때문” 이라고 분석했다.

또 “단 이러한 결과가 의사가 모든 부작용을 기계적으로 자세히 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며 “이번 연구에서도 암전문의 39%만이 부작용을 충분히 설명했다고 답했지만, 대다수의 환자와 보호자는 이 설명에 만족했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박종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암 치료 약물 부작용을 알리는 문제를 두고 의사결정 주체 간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며 “환자와 가족이 적정 수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부작용 설명을 위한 충분한 진료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또 포괄적인 암 정보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을 양성해 각 지역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인 ‘정신 종양학(psycho-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