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고야의정서, 들어는 봤지만 자세한 내용 몰라"

지난해 10월 12일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됐지만 국내 제약사 대부분은 아직도 나고야의정서에 대해 자세히 모르고, 대책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이 28일 서울 GS타워에서 개최한 '제12차 한국ABS(유전 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포럼'에서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산업정책실장은 제약·바이오 등 업계의 나고야의정서 인식현황 조사결과에 대해 이같이 발표했다.
"나고야의정서 들어 봤지만 자세히 몰라"
한국제약협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업계 인식을 조사한 결과 97%는 나고야의정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지만, 이에 대해 어느정도 안다고 대답한 군은 44%에 그쳤다.
특히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냐는 질문에는 92%가 아니라고 대답해 이익공유 검토, 해외유전자원 사용현황 확인 등을 진행 중인 기업은 약 8%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대부분 기업은 현재 수입국의 법규정이 정립되지 않았고, 회사 및 경영진의 인식이 부족하며, 국내법(규정, 절차 등)이 미진하고 정보 또한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나고야의정서가 회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도 8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회사에 영향이 있을 거라고 예상한 14%는 원가상승(33%)을 가장 많이 우려했으며, 완제의약품 가격상승(27%)이 뒤를 이었다. 또 20%가 각각 원료공급선의 변화와 신제품 개발의 어려움을 꼽았다.(복수응답)
아울러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라 정부 지원 차원에서 DB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26%로 가장 많았으며, 허가등록 절차에서 원료의약품 등록(변경절차 등)과 개발단계에서 원료의약품 수급에 대한 지원 요구가 각각 18%씩 나타났다.
또 개발단계의 후보물질 발굴(16%)과 허가등록단계의 제약산업에 유리한 원산지 관련 제도(10%)에 대한 지원요구가 뒤를 이었다.
기업차원의 중점고려분야는 의견이 쉽게 몰리지 않고 다양했다. 개발단계에서 원료의약품 수급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23%로 가장 많았고, 허가등록 단계에서 원료의약품 등록(변경절차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16%로 확인됐다.
시판후 표시기재 등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은 19%가 강조했고, R&D 기획 단계와 후보물질 발굴 단계에서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은 각각 12%였다. 반면 기업 자체의 DB구축은 4%로 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