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나 가이드라인 제작은 현재로썬 불가능...다학제협진 현황 파악 우선

▲ 노동영 암학회 이사장

대한암학회도 다학제진료에 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암학회에서 노동영 이사장은 다학제진료에 대해 정부가 공식적인 물꼬를 열어준 것은 환영하지만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은 것도 있어 고민스럽다고 토로했다.

노 이사장은 “정부가 제시한 수가도 적절하지 않고, 제대로 하려면 평가나 가이드라인 등이 필요한데 현재는 그런 것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라며 “평가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을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지금으로써는 병원들이 어느 정도 다학제진료를 하는 등을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몇 개 암병원장이 만나 통합진료에 대한 얘기들을 논의하고 있고, 병원들의 생각을 정부에 제안하는 등 학회에서도 암정책에 적극적으로 나설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다학제협진을 위한 평가 시스템을 만들려고 시도하기 위해 필수 진료과 등을 지정하려고 했지만 병원마다 장애가 있어 포기했다는 게 김열홍 학술이사의 설명이다.

김 학술이사는 “암치료라는 고난도의 행위에 대해 정부가 잣대를 갖고 평가한다는 것이 어려웠던 모양”이라며 “일단 보장성 강화와 맞물려 다학제진료를 추진해 보고 이후 경과를 보려고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학제진료는 장점도 많지만 우려되는 점도 있다는 게 학회측 입장이다.

현실적으로 의사 4명이 한자리에 모이기 어렵다는 것과 환자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는 걱정이다.

김열홍 학술이사는 “약속한 시간에 모이기로 했지만 수술을 하는 의사가 늦어지면 기다려야 하는 일들이 자주 발생하게 될 것”이라며 “다학제에 참여하는 의사 4명이 특진의사라면 환자의 저항감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병원 경영 측면을 고려해 꼭 필요하지 않은 다학제협진이 발생할 수 있고, 환자의 상태가 나빠졌을 때 결과에 대한 책임 소재도 애매해질 수 있다.

한편 이번 암학회 학술대회에는 유전자를 이용한 암치료에 대한 발표가 주목을 받았다.

이탈리아 토리노대학의 Alberto Bardelli 교수가 ‘Precision oncology for colorectal cancers'를 주제로 발표했다. Bardelli 교수는 최근 혈액 내 유전자를 이용한 대장암 발생의 주요 유전자 변이의 치료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강조했다.

독일 뮌헨대학의 Andreas Jung 교수가 ‘Predictive biomarkers in decision making for treatment strategy'에 대해 소개했다.

김태유 총무이사는 “유럽 등 선진국은 정부에서 유전자치료를 지원해 환자부담 없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유전자 치료에 관심 있는 의사들이 열심히 연구 하지만 정부가 신의료기술등제 등 규제에 맞혀 있는 상태”라고 아쉬워 했다.

또 “앞으로 맞춤치료나 유전자치료는 기존의 치료법인 수술 등을 뛰어넘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유전자검사의 기준 등을 완화하는 등 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