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태어나면서 울음을 터뜨리며 고고의 소리를 울린다. 이렇게 고고의 소리를 내며 태어나는 것은 오로지 사람뿐이다. 무엇이 슬퍼서 울음을 터뜨리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몸에서 떨어져 나와 독립된 한 생명체로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생명유지에 필요한 산소를 얻기 위한 폐 운동을 하기 위해서이다.
 그렇다면 다른 동물들도 어미의 뱃속에서 나오면 독자적인 폐호흡을 하여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인데 왜 사람만이 울음을 터뜨리는가.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기 때문에 태어나면서부터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것으로 자기는 이렇게 건강하여 독자적인 호흡을 할 수 있으니 안심하라는 신호인 동시에 세상에 태어나게 해준 어버이에게 감사한다는 의사표시이다. 즉, 인생 출발의 첫 신호로 고고의 소리는 만물의 영장으로서의 위험을 지닌 한 인간으로서 인간사회와 더불어 착실하게 살아가겠다는 의사표시로서의 의의를 지닌 신호인 것이다.
 생후 5주경이 되면 어린애는 혼자 미소 지으며 웃음을 연습하다가 생후 4~5개월이 되면 깔깔 소리내며 웃게 된다. 즉, 어린이는 우는 것과 웃는 것으로 어미와 대화하는데 우는 것으로 어미를 끌어 들이고 웃음으로 어미의 혼줄을 뽑아 자기 주변을 못떠나게 한다. 이렇듯 어린애의 두 동작의 의미는 전연 다르지만 그 표정에는 공통점이 있다. 즉, 어린애가 울 때 얼굴의 근육은 긴장되고 피부는 붉게 물들고 눈물을 흘리며 입이 벌어지고 입술을 좌우로 당기며 세찬 숨을 내 쉬며 울음소리를 낸다.
 그런데 어린애가 무언가 몹시 즐거운 일이 있어 깔깔대고 소리 내어 웃을 때의 얼굴 표정은 울 때의 표정과 같으며 눈물도 나오는 수가 있는데 단지 다른 것은 소리의 차일 뿐이다. 이렇게 울음과 웃음의 감정 표정이 유사하다는 것은 우연한 것이 아닌 것 같다. 즉, 웃음이라는 동작은 울음이라는 감정 반응의 이차적인 신호로서 파생되는 것이다.
 어린애가 웃기 시작하는 것은 자기 어머니를 알아보는 무렵부터이다. 그 이전 단계에서는 혼자 소리를 내거나 목을 굴리는 소리를 내기도 하고 울기는 하지만 웃지는 않는다.
 어머니가 자기를 보호해 주는 사람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나면 어떤 특수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 무렵에 어머니가 어린애를 공중에 갑자기 쳐들어 올리는 동작을 하면 어린애는 이중 메시지를 받게 되는 셈인데 이를 직접 표현하지는 못하지만 그의 표정에서 `아! 놀랐다. 그러나 놀라게 한 것은 어머니이니 걱정할 것 없다.`
 위험하기는 하지만 안심이라는 상반되는 감정으로 부분적으로는 놀라게 한 것에 의해 울고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안도라는 표현으로 목 울림 이라는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그 결과가 미소로 나타나게 된다. 즉, 얼굴의 표정은 우는 것에 가까운데 음성은 리드미컬한 즐거운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고음을 내는 것은 아니다.
 이렇듯 우는 것과 미소의 경계의 폭은 매우 좁아 울다가도 웃고 웃다가도 우는 것이 어린애들의 특징이며 성장하면서 그 경계의 폭은 넓어진다.
 우리가 농담이나 코미디를 접했을 때 웃게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주 기묘하여 쇼킹하다거나, 아주 이상해서 좀 놀랍다거나 하는 감을 받았을 때 웃음이 터지게 된다. 즉, 미소 지을 요소에 울음의 요소가 동시에 작용하였을 때 터져 나는 것이 웃음이다. 따라서 미소에서 웃음으로의 유인 요소는 엷은 공포감이 섞일 때이다. 그렇고 보면 우리가 슬플 때 눈물이 나고, 몹시 웃을 때도 눈물이 나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웃음과 울음 모두 눈물로 이어져
 사람이 지닌 감정의 극단적인 표현은 웃음과 울음이다. 이 두 감정 표현은 눈물로 연결 된다. 운다는 것은 감성에서 파생되는 표정의 하나이며 인간적이다. 사람들은 눈물이 나오기 전에 콧날이 시큰해짐을 느낀다.
 어떤 감정이 파생되면 누선(淚腺)이 자극 받고 다음에 안검(眼瞼)과 볼을 수축시키는 근육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입술 주위의 윤상근(輪狀筋)은 웃을 때는 이완되지만 슬픈 때는 길항근(拮抗筋)의 영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웃을 때 볼이 거상(擧上)되는 것과는 달리 슬플 때는 구각(口角)을 내리게 하는 삼각근(三角筋)이 우세하게 작용하게 되어 구각은 밑으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볼은 눈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과 아래 입술을 밑으로 내리는 근육 사이에서 우세하게 작용하는 근육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웃을 때는 얼굴의 하반부의 근육의 작용이 강한 반면에 슬퍼 울 때는 상반부의 근육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눈물이라는 분비작용을 동반하게 된다. 이렇게 눈물을 흘리는 것이 쾌자극(快刺戟)이 되어 슬픈 감정을 다소 완화 시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각성수준이 저하되어 있는 어린이의 경우는 울다가 그대로 잠이 드는 경우를 보게 된다. 반대로 눈물은 몹시 웃을 때도 흘리게 되어 결국 웃음과 울음은 눈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웃을 때나 울 때 횡격막과 흉근(胸筋)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는데 횡격막의 불규칙적인 경축(痙縮)작용에 의해 가슴과 목이 영향 받아 호흡은 흐느끼게 되며 흡기(吸氣)는 빨라지고 호기(呼氣)는 느려진다. 심하게 울 때는 긴 한숨을 동반하게 되고 얼굴은 붉게 물들거나 울혈상태로 앞이마의 혈관이 확장하게 된다.
 이 때 가슴운동이 장애를 느끼는 것은 호흡계 신경과 심장 박동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미술에서는 이러한 상황의 정동표현을 포착하는 것을 매우 중요시 한다. 슬픔에는 얼굴 전체에 무기력한 상태가 감돌게 되고 강한 흥분, 비통에 의한 심한 긴장, 비탄이나 혼란에 의한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기력이 좋았을 때나 즐거웠을 때의 추억이 억제되어 비애나 혼란이 계속되어 낙담한 얼굴에다 무거워 보이는 눈을 한 전신의 무기력한 모습이 가장 충격적인 특징이다.
 입술은 이완되어 아래턱은 처지고 눈에서는 눈물이 흘어 나와 떨어지고 눈썹은 구각하제근(口角下制筋)에 의해 생기는 입의 경사와 같이 좌우로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잘 표현한 것이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가 그린 `울고 있는 여인`(1937)이며 슬픔과 즐거움을 동시에 느끼며 우는 것을 얀 산데르스 반 헤메센(1500-63)이 그린 `우는 신부`(1540)에 잘 나타나 있다.
 이렇듯 사람의 인간적인 표정에 있어서 입술 특히 구각과 눈썹의 표정 표현은 매우 중요시 되는 것이 화가와 의사들의 공동 실험으로 입증되었는데 그것이 `Peter of Cortona` 인데 구각과 눈썹을 올리고 내리고하여 비통과 웃음의 표정이 전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문국진 박사 약력
△고려대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자연과학부 회장
△대한법의학회 명예회장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