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학회+임상초음파학회 TF구성키로

▲ 대한임상초음파학회는 2일 추계학술대회를 가졌다.

전공의에 대한 내과 초음파 교육이 조만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임상초음파학회 김홍수 회장과 이명희이사장은 2일 "수련과정에 전공의 초음파교육이 있지만 직접 하고 있는 곳은 소수에 불과하다"면서 "내과학회와 임상초음파학회가 공조해 수련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키로 했다"고 밝혔다.

학회장에서 만난 전공의와 펠로우들도 "수련과정중 초음파 경험을 할 수 없었다"고 토로하고 있다. 또 일부 교육하고 있는 곳에서는 영상의학과에서 하고 있는데 내과에서 환자를 보면서 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이번 추계학회에 젊은 의사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이들은 "개원을 하기 전에 초음파를 배워야 겠다"는 생각에 학술대회장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명희 이사장은 "두 학회는 올해 TFT를 구성키로 했다"며, "TF에서는 두 학회가 생각하는 시각이 기본적으로 다를 수 있어 프로그램, 아젠다, 로드맵 등을 협의해 차이를 좁혀나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향후 보험급여를 하기 위해선 의료 질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수련과정에 초음파교육 프로그램이 있었는지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소노그래퍼 문제도 향후 논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대학병원 등 임상현장에서는 법적 지위가 모호하지만 의사의 지시아래 소노그래퍼를 이용한 환자 진료가 이뤄지고 있고, 인력 양성하는 대학도 3곳 있다. 현재 대학병원 에코와 산부인과 등에서 200~300명이 활동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영상의학과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임상초음파학회에선 "언제가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소노그래퍼의 역할과 적응증, 책임과 한계 등을 검토하고 있다.

김홍수 회장은 "개원가 입장에서는 의사의 몫으로 보고 있지만 수가가 더 낮아지면 소노 문제는 거론이 안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이 사안은 내과보다는 영상의학과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겠냐"고 지적했다.

▲ 대한임상초음파학회 이명희 이사장, 김홍수 회장, 박현철 부회장

이 이사장은 초음파에 대해선 정책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초음파는 내과계 개원가에서는 유일한 비급여다. 그러니 급여화가 되거나 초음파 수가가 한없이 떨어지면 

임상초음파학회나 영상의학과도 바로서기가 쉽지 않다.

이 이사장은 먼저 건보재정이 한정적이고 의료 질이 의료기관별로 다를 수 있어 너무 빨리 급여화로 가는 것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초음파는 국민 건강을 위해 좋은 검사로 경제적이면 좋겠지만 의료기관에도 적정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해 관련 기관·진료과가 함께 공조해야 한다는 '공동 대처론'을 제안했다.

박현철 부회장은 "복지부는 9월부터 초음파 급여화를 예고했는데 현재 진행이 안되고 있다"며, "구호로만 주장하고 정작 의료기관이나 의료기회사 등도 정책이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전문가 그룹과 충분히 논의하고 연구한 뒤 정책을 집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회원들은 단순히 연수평점을 받으러 오는 것이 아니다. 초음파 급여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질 관리를 신경쓰고 있다. 환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려 학술대회에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는 1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상복부·하복부·근골격·심장으로 나눠 연제 발표와 핸즈온 코스가 있었으며, 홈페이지에 올라온 흥미로운 증례를 Q&A로 풀어보는 시간도 진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