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당뇨병연맹도 강조하는 셀프케어 우리는…

당뇨병 환자의 교육이 보다 더 체계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급여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 보험법제위원 김대중 교수(아주의대 내분비대사내과)는 17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당뇨병학술대회에서 "당뇨병과 합병증이 무엇이고 자기 몸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이 우선인데 이 같은 교육은 20% 밖에 되지 않고 있다"면서 "급여화를 강제로 시행해서라도 진단시점부터 수시로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 교육 필요성에 대한 부족한 인식을 제고하고 환자 중심 구조 및 자기 관리 교육의 필요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 당뇨병연구회(WHO, Study Group on Diabetes Mellitus)도 당뇨병 교육에 대해 "환자와 가족들에서 교육은 당뇨병 관리의 기초이고, 일반인들에게 교육하는 것은 당뇨병 예방이라는 측면에서 종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처럼 당뇨병 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치료율을 20에서 많게는 100배까지 높이는 등 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이에 김 교수는 교육 확대를 위해서라도 시행되야 하는 급여화에 대한 내용을 담은 몇가지 정책 안건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인슐린 사용자에 대한 주사지도 관리료를 비롯한 체계화된 당뇨병 교육의 급여화 △혈당 측정용 스트립 지원 확대 △당뇨병 환자 필수 소모품 지원책 마련 등이 있다.

특히 현재 제1형 당뇨병 환자에 국한되어 있는 지원이 인슐린을 사용하는 제2형 당뇨병 및 임신성 당뇨병 환자에게 까지 확대하자는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인슐린 주사기 또는 펜니들, 인슐린 펌프 소모품을 비롯한 혈당 측정용 주사침 등의 지원 역시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미국당뇨병학회가 발표한 2014 가이드라인에서도 필요한 소모품과 교육이 보험 체계화에 들어와야 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미국은 테스트, 혈당측정기, 란셋은 물론 교육도 모두 급여을 인정해주고 있다"면서 "우리도 이같은 법률을 하루 빨리 제정해 늘고 있는 당뇨병 환자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