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지방의료원 등에 '공공보건의료기관 행동강령' 개선 권고

정부가 리베이트를 뿌리뽑기 위한 전방위 압박을 하고 있다. 이번에 국민권익위가 공공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청렴성을 높이기 위한 행동강령을 마련, 201개 공공의료기관에 권고했다.


국민권익위는 공공보건의료기관 종사자가 제약회사 등으로부터 의약품 구매·처방 등의 명목으로 리베이트를 받는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행동강령의 직무관련자 범위에 리베이트 제공 금지 업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공공보건의료기관 행동강령' 개선을 추진키로 했다.

공공의료기관 201곳은 서울대병원, 서울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 보훈병원, 적십자병원, 산재병원, 국립재활원 등이다.

국민권익위가 지난 3월부터 4월에 걸쳐 공공보건의료기관(공공의료기관, 보건소 등 공공보건기관) 331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리베이트 관련 실태조사에 따르면 △공공보건의료기관 종사자가 특정 제약회사 등으로부터 의약품 구매·처방, 납품계약 유지 등의 명목으로 금품·향응을 수수하거나, 법인카드를 제공받아 사적용도로 사용하는 등의 관행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설문조사, 자문, 강연, 논문번역 등의 형태로 제약회사 등으로부터 고액의 금품을 수수하거나 대가를 받는 외부강의 등을 하고도 신고가 한 건도 없는 기관이 다수였다. 

여기에 리베이트를 수수한 의사에게 징계를 하지 않고 의원사직을 허용하거나, 형사절차가 진행 중이고 새로운 의사 고용이 어렵다는 이유 등으로 징계조치를 하지 않거나 미온적으로 처리했다.

2013년 공공의료기관의 59%, 공공보건기관의 65%가 리베이트 수수 방지를 위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었으며, 리베이트 유형, 위반사례, 대처방법 등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도 미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의약품 선정·구매 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장치가 미흡했는데, 의약품 심의위원회 설치·운영 규정이 아예 없거나, 위원을 모두 내부직원으로 구성하고 리베이트 전력이 있어도 심의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또한, 의약품 입찰 공고 시 단독품목 비율보다 성분별 경합품목비율이 낮고, 신규 의약품 구매와 관련해서도 별도의 검증절차 없이 총액입찰 방식으로 진행하거나 공공보건의 교체 시 의약품 종류를 달리 하고 신규 의약품을 임의로 선정하여 구매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민권익위는 '공공보건의료기관 행동강령'을 개정해 직무관련자 범위에 리베이트 제공금지 업체를 명시하고, 리베이트의 정의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마련토록 했다.

그리고 공공의료기관 행동강령의 외부강의·회의 등의 신고 규정을 보완해 '제약업체 등 외부기관으로부터' 대가를 받는 모든 외부강의 등을 신고대상으로 명시하는 한편, 리베이트 수수자에 대해서는 징계조치를 의무화하고 리베이트 수수를 포함한 행동강령 준수여부를 점검하도록 했다.

아울러 행동강령 준수를 위한 교육계획을 수립·시행할 때에 리베이트 수수 방지 교육을 포함하도록 했고, 의약품 등 심의위원회를 설치·운영하도록 하되 민간위원을 적정 인원으로 구성하고 리베이트 수수 등 부패행위 전력자를 위원자격에서 배제하는 등 위원회 운영 관련 개선 사항도 함께 제시했다.

국민권익위는 "이번 개선방안 권고에 따라 '공공보건의료기관 행동강령'이 개선되면 그 동안 지속되어 온 리베이트 수수 관행이 줄어들고 공공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윤리성과 청렴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