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D 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 범부처 지원 선언

“한 글로벌 자동차회사는 2014년형 중형 세단을 개발하면서 이전 모델에 대한 고객의 요청사항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디자인 업데이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전통적인 방식에 따르면 3년 이상 걸리는 작업을 3D 프린팅 기술로 불과 1년 6개월 만에 완성해 개발 기간과 비용을 절약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은 최근 정책브리핑을 통해 “3D 프린팅은 신제품을 테스트하고 시장반응에 따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제조 혁신의 도구이며, 식품·완구·주얼리 등 소비재와 치아 임플란트, 인공장기 등 우리 실생활에도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한 유망기술”이라고 소개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3D 프린팅을 제조 혁신의 핵심수단으로 삼고,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대기업을 제외하면 3D 프린터를 활용하는 기업은 극소수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7월 산학연 포럼을 발족한데 이어 범부처 차원의 발전전략을 수립,  2020년 3D 프린팅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시동을 내걸었다.

윤 장관은 “올해부터 지역거점으로 구축하는 제조혁신지원센터에서 기업들이 디자인, 시제품 제작, 양산 등 제조공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비와 전문 인력을 지원한다. 제품 개발 기간 단축과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중소기업 대상으로 3D 프린팅 장비를 탑재한 차량이 현장을 방문하는 '찾아가는 시제품 제작 서비스'를 운영해 제조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윤 장관은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의료·자동차·항공·교육·인테리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는 것도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주요 정책”이라며 “소규모·맞춤형 생산, 아이디어 기반 창업에 적합한 3D 프린팅 산업의 장점이 신규 창업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신 3D 프린팅을 단순히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만 인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조현장에 반영하고 쉽게 상품화할 수 있는 개방형 산업구조라는 것.

지난해 말 GE는 항공기 제트엔진 부품에 사용할 수 있는 3D 프린팅 디자인 공모를 통해 9개국, 총 700여개의 디자인이 응모된 사례도 있었다.

윤 장관은 “우리나라도 창의 기반의 3D 프린팅 디자인이 유통될 수 있는 플랫폼인 디자인스토어를 구축해 스마트폰 앱스토어처럼 다양한 아이디어 콘텐츠가 활발히 거래될 수 있는 장으로 자리잡게 하겠다”며 “국산 장비의 공신력을 확보하고 일반 사용자가 안전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인증·평가제도를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도 정비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다른 기술이나 산업과 융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만큼 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생태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수 있는 3D 프린팅은 제조업 혁신을 넘어 경제·사회 전 분야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해줄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