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탁근 교수팀, 최근 5년간 환자 치료 실태 분석

전립선비대증 환자 대부분이 약물 복용을 지속할 뿐 수술적 치료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을지의대 유탁근 교수팀(대한전립선학회 회장)이 최근 5년간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치료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2006년부터 2011년간의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및 보건복지부 OECD 보건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했다.

전립선비대증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50대에는 50%, 60대에는 60%, 80세 이후에는 거의 80%에 가까운 유병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특히 전립선비대증으로 치료받는 환자도 2007년 70만5507명에서 2011년 106만6441명으로 1.5배 증가했다.

하지만 이런 꾸준한 환자 증가에도 2012년에 발표된 ‘OECD Health data’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경요도 전립선절제술은 인구 10만 명당 26.6건으로 OECD평균 105건의 1/4 수준으로 나타났다. 최하위 국가인 멕시코의 25.2건과 비슷한 수준이다.

전립선비대증의 수술적 치료는 약물치료가 잘 되지 않거나 갑자기 소변이 나오지 않는 요폐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한다.

실제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수술 받은 환자의 85%가 수술 후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약물 복용보다 수술적 치료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수술 없이 약물 치료를 지속할 때, 그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관련 증상으로 복용하는 약물의 1년 평균 약제비는 20만 5948원으로 전립선비대증의 대표적 수술 방법인 경요도 전립선절제술의 수술 수가가 25만원 내외임을 고려할 때, 추가 마취료와 입원료를 감안하더라도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약물 복용 지속보다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장기적으로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고령 환자의 약물 복용 부담도 줄여준다. 또한, 급속히 증가하는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약제비 증가율을 저지시키는 효과도 있어 건강보험의 재정 부담도 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탁근 교수는 “이번 분석 결과는 수술 후 약물 치료로부터 해방을 받을 수 있는 환자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 아주 의미 있다”며 “ 필요한 환자에게는 좀 더 적극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장기적인 약물 치료로 부터 해방시켜주는 것이 치료 만족도를 높임을 물론, 환자의 의료부담도 줄이고 나아가 건강보험재정에도 도움을 줄 것” 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를 공동 진행한 서울의대 비뇨기과 손환철 교수도 “수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정보 부족이 전립선비대증 환자에게서 약물복용만 지속하게 하는 원인”이라며 “약물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약물치료를 수십 년 지속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아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