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보건의료 시장의 규모가 8000조 원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중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1.1%인 90조원에 불과하다. 그동안 국내 산업에 머물러 있고 건강보험 틀 안에 갇혀 해외시장에 눈을 돌리지 못한 것이 이유다. 자동차, 휴대폰, 반도체에 이어 앞으로 보건의료산업의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보건복지부 정호원 해외의료진출지원과장은 10일 열린 ‘2013년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활성화 포럼 및 병원 프로젝트 설명회’에서 정부 차원으로 의료시스템 해외진출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무엇보다 의료산업의 성장가능성이 주된 이유다. 휴대폰, 반도체, 자동차산업의 반만 따라더라도 수백조원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산업은 사람들이 모여 이뤄지는 만큼, 제품 생산과는 달리 서비스의 차이가 크고 그만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 과장은 “수많은 노하우와 기술이 복합해 발생하는 것이 의료서비스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모방하기 힘들고, 관심있다고 해도 선뜻 따라오기도 어렵다”며 “우리나라도 어느 사이에 의료수준이 세계 최고로 와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정부 관계자들도 한국의료가 발전모델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배우고 싶어한다는 것.

그는 “해외의 한국의료 수요자들과 한국 병원들 사이에 다리를 잘 놔주는 것이 정부가 해야할 일이라고 본다”며 “병원들이 임상경험이 풍부하더라도 해외 진출 경험이 부족하고 법적인 걸림돌이 많기 때문에 정부대 정부(G2G)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그간 민간 병의원이 '나홀로' 진출하게 되면 각종 현지 의료제도나 허가기준, 파트너 선정, 의약품.의료기기 등록 등에 많은 장벽을 만날 수 밖에 없었다. 투자여력이 제한돼 있고 자금마련이 쉽지 않으며, 환수 역시 쉽지 않았다. 이에 복지부 차원으로 제도 완화는 물론 코트라, 수출입은행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할 방침이다.

정 과장은 “현지 파트너를 제대로 고르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며, 제대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놔주는 역할을 정부가 할 수 있다. 현지 시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며 “그간 해외환자 유치 성과를 토대로 한국의료를 알려왔다면, 이젠 한국의료 진출의 성공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기대했다.

현재 진출로 예정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등으로 거대한 '메디컬코리아 벨트'를 조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보건의료산업은 융합산업이다. 가치사슬 안에 많은 영역이 들어와 있는 만큼, 다양한 기회가 파생되는 산업이라 볼 수 있다”며 “발전가능성이 있고 기회가 많이 있지만, 의료라는 한 부분이 기여한다고 해서 되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 정부부처와 연관산업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